최근 독일 싱크탱크인 Ifo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 같은 비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지난해 9월 독일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55%가 ‘글로벌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독일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위해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겠다는 응답은 훨씬 적었다. ‘넷제로 달성’을 위한 조치에 대해 응답자의 16%만 가정에 비용을 직접 부과하는 가정 난방용 천연가스 금지 등을 지지했다.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인 ‘명시적 탄소세’를 지지한 응답자는 8%에 그쳤다.
이제 기후 보조금은 세금 인상이나 정부 지출 삭감을 상쇄하는 방식으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숄츠 정부는 위기에 빠졌다. 베를린이 탄소세와 비슷한 정책을 추진하려고 하자 대규모 농민 시위가 일어났고, 정부는 이를 철회했다.
독일뿐 아니라 다른 국가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8월 유럽 주요국 설문조사에서도 국가별 응답자 3분의 2 이상이 기후 변화를 우려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비용을 낼 의향은 전혀 없다. 나무 심기, 주택 단열 보조금 지원 등은 찬성하지만 내연기관 자동차 금지, 육류 및 유제품 소비 제한, 유류세 인상은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수년간 정치인들이 넷제로에 대한 인식보다 불협화음에만 기대 왔다는 점이다. 정계와 학계 모두 기후 변화에 대해 종말론적 수사를 앞세워 유권자에게 기후 변화는 ‘실존적 위험’이라고 설득해 왔다. 이제는 유권자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개인적으로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 알기 때문에 지지율은 급락하고 있다.
또한 유권자들은 기후 변화에 지불할 준비가 돼 있지 않은 비용을 점점 더 명확하게 인식한다. 이들이 더 이상 비용에 신경 쓰지 않을 때까지 넷제로의 진정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월스트리트저널(WSJ) 칼럼 ‘Net Zero Becomes All Dissonance and No Cognition’을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