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비뼈 사자’ 등 동물 학대 논란이 불거진 부경동물원에 남아 있던 백호 한 마리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8월 부경동물원 사육장의 백호랑이. 이곳에는 두 마리의 백호랑이가 지내고 있었는데, 최근 한 마리가 세상을 떠났다.” “불 꺼진 동물원서 ‘백호’ 눈감았다.” 경영난으로 폐업한 경남 김해의 부경동물원에서 지난달 백호 한 마리가 죽었다. 이 소식은 언론의 주목을 크게 받지는 못했지만, 이른바 ‘동물권’ 논란과 맞물리면서 우리 사회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켰다.
관용구 또는 관용어는 2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해 각각의 단어 의미로는 알 수 없는,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를 말한다. 가령 ‘발이 넓다’라고 하면, ‘사교적이어서 아는 사람이 많다’는 특수한 의미를 띠는 것이다. 완곡어법은 듣는 사람의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모나지 않고 부드러운 말을 쓰는 표현법이다. 청소원을 환경미화원이라 하고 운전수를 기사로, 간질을 뇌전증으로, 정신분열병을 조현병으로 바꿔 부르는 게 다 완곡어법이다. ‘죽다’를 ‘돌아가다’, ‘세상을 떠나다/뜨다’로 표현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때 ‘완곡’하게 나타내는 대상은 대개 ‘윗사람의 죽음’이다. 나이나 항렬이 자기보다 높거나, 지위나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의 죽음을 나타낼 때 쓴다. 당연히 동물의 죽음까지 ‘완곡’하게 말하지는 않는다. 하긴 요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가족의 일원처럼, 사람 못지않게 대하는 시대라 일각에서는 ‘세상을 떠나다’란 표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아직까지 우리 어법에서 짐승에 이런 말을 쓰지는 않는다. 다른 문장의 서술어 ‘눈감다’ 역시 ‘사람의 목숨이 끊어지다’란 뜻이다. ‘눈+감다’의 합성어로, 관용구 단계를 넘어 아예 하나의 단어가 된 말이다.
글은 물 흐르듯 매끄럽게 이어져야 한다. 그것이 곧 ‘세련된’ 글쓰기다. 이를 위해선 어색한 표현이 있으면 안 된다. 자연스러운 말을 쓴다는 것은 바로 ‘적절한 단어의 선택’을 뜻한다. 요즘 흔히 쓰이는 ‘탑재’란 말도 그런 점에서 그리 자연스럽지 않은 것 같다. “총 46m, 지상 16층 정도의 높이로 계단 2500개로 구성된 베슬은 전망대 기능을 탑재한 구조물이다.”
뉴욕 맨해튼의 새 랜드마크로 떠오른 ‘베슬’을 설명한 말이다. ‘탑재’란 배나 비행기, 차 따위에 물건을 싣는 것을 말한다. “트럭에 보급품을 탑재하다, 미사일을 탑재한 전투기” 같은 게 용례다. 이 말이 요즘은 어떤 기능을 갖췄다는 의미로 확대돼 쓰이고 있다. “이 카드는 ○○은행의 포인트 적립카드인 ‘XX카드’ 서비스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다.” “회원 주소록 공유 및 회원 간 채팅 기능도 탑재돼 있다.” 이런 문장은 탑재의 본래 쓰임새에서 벗어나 읽을 때 어색함을 준다. 각각 ‘~전망대 기능을 갖춘(구비한)’ ‘~서비스를 기본으로 담고(포함하고) 있다’ ‘~기능도 들어(갖추고) 있다’ 정도면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