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조합 내 갈등으로 소송전에 휩싸이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조합장 공석으로 사업이 표류하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다.
2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 서강GS아파트 리모델링 조합은 이달 초 조합장 후보자 모집 연장 공고를 냈다. 앞서 진행한 조합장 입후보자 모집에 아무도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단지는 기존 538가구를 618가구로 리모델링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21년 조합을 설립해 안전진단 절차를 진행 중이다. 최근 마포구가 심의를 진행하려면 조합장을 우선 선출하라고 권고하면서 리모델링 후속 일정이 차질을 빚고 있다.
조합장을 하겠다고 나서는 후보자가 없는 게 문제다. 리모델링 조합장이 되면 시공사와의 계약 때 연대보증을 서야 한다. 당초 조합장에 관심을 보인 조합원 모두 ‘연대보증을 감수할 수 없다’며 출마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 한강삼익아파트 재건축 조합도 최근 조합장에 이어 직무대행까지 사임하며 후임자를 선임해야 했다. 이 단지는 사업시행계획 변경을 추진 중이다. 조합장의 장기 공석으로 주민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공사가 중단된 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도 조합 내홍으로 조합장이 공석 상태다. 집행부가 제대로 활동해야 공사비를 지급하고 공사를 재개할 수 있는 상황이다. 조합은 오는 4월에야 새 조합 집행부 선임 등의 입장이 정리될 전망이다.
정비업계에선 과거 이권의 상징처럼 여겨진 조합장 인기가 식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전에는 임금이 높았고, 정비사업 성공에 따른 인센티브 보상이 컸다. 최근 공사비 상승과 사업성 악화로 조합장 보수부터 깎는 조합이 증가하는 등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송파구 잠실 장미1·2·3차 재건축 조합은 최근 조합장 연봉 인상 계획을 두고 입주자대표회의가 공개 반대에 나서며 내홍으로 번졌다. 서초구 반포주공 124주구 재건축 조합과 노원구 상계2재정비촉진구역 조합은 집행부가 먼저 임금 삭감을 결정했다.
조합장의 책임은 여전히 커 사령탑이 없는 조합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한 정비업계 관계자는 “그간 조합장이 과도한 보수를 받던 관행이 정상화되는 과정”이라면서도 “과도한 업무 부담에 따른 조합장 공석 사태가 사업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합장 역할과 보수에 대한 합리적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