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 3위.’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선 D램 시장점유율(작년 4분기 19.1%)이 가장 낮은 미국 마이크론을 이렇게 부른다. 시장점유율뿐 아니라 제품 개발이나 시설 투자 등에서 업계 1위 삼성전자(45.7%)와 2위 SK하이닉스(31.7%)보다 한 수 아래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한 번도 30% 벽을 넘지 못한 D램 점유율이 증거다.
이런 마이크론이 26일(현지시간)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를 세계 최초로 양산한 것에 대해 “꼴찌의 반란”이란 해석이 나온다. 업계에선 엔비디아 등 미국 기업들의 ‘제 식구 챙기기’, 미국 정부의 자국 반도체 기업 지원을 발판 삼아 마이크론이 본격적인 ‘몸집 불리기’에 나설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마이크론은 이례적으로 고객사 이름까지 보도자료에 적시했다. HBM 시장의 ‘큰손’으로 글로벌 AI가속기(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반도체 패키지) 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엔비디아에 납품한다고 발표한 것. “24GB 8단 HBM3E는 올 2분기 출시되는 엔비디아 ‘H200’ AI가속기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썼다.
마이크론의 자신감은 보도자료 곳곳에 묻어 있다. “경쟁사를 압도하는 성능” “전력 효율이 경쟁사의 HBM3보다 30% 높다”는 식이다.
최신 D램인 ‘5세대 10나노(㎚)’급을 써 HBM3E를 양산한 점, 8단 적층 제품보다 성능이 좋은 12단 HBM3E 샘플을 다음달 고객사에 보내기로 한 것도 마이크론 기술력이 개선된 증거로 꼽힌다. 27일 SK하이닉스 주가가 4.94%나 빠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텔은 외부 고객사를 유치하기 위해 ‘파운드리 세계 2위’ 타이틀부터 갖고 오기로 했다. 인텔 파운드리 사업부의 실적을 올 1분기부터 별도 공개하면서 자사 제품 생산 실적을 포함하기로 한 것. 이렇게 되면 인텔의 CPU 수탁생산 매출이 파운드리 사업부 실적에 잡힌다. 삼성전자가 내부 물량을 파운드리 실적으로 잡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회계처리를 하기로 한 것이다.
현재 1% 수준인 인텔의 파운드리 점유율은 10%대 중반으로 올라갈 전망이다. 인텔 관계자는 “당장 1분기부터 삼성 매출을 앞설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