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와 업계 1, 2위를 다투던 에이블리의 MAU는 감소세로 돌아서지는 않았지만 증가세가 눈에 띄게 완만해졌다. 작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MAU 증가율은 3~5% 수준이다.
패션업계는 이들 플랫폼의 부진이 알테쉬의 급부상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알리의 2월 MAU는 818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0% 넘게 늘었다. 쉬인은 올 들어 MAU 증가율이 1월 315%, 2월 280%에 달하는 등 폭발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테무도 불과 8개월 만에 MAU가 580만 명을 넘어섰다.
에이블리와 지그재그, 브랜디는 중국에서 의류를 떼어다 판매하는 입점 셀러(동대문 쇼핑몰) 비중이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동안 2030 여성이 선호하는 패션 트렌드에 맞는 ‘가성비’ 제품으로 고속 성장을 이어왔다. 하지만 알테쉬가 중국산 의류를 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상실했다는 지적이다.
패션 플랫폼에 주로 입점하는 셀러의 폐업도 최근 급증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통신판매업체 폐업 건수는 7만8580건으로 2022년 대비 37% 늘었다.
업계에서는 이런 결과를 브랜드 경쟁력 유무에 따른 차이로 해석한다. 무신사는 국내 중소 디자이너 패션 브랜드, W컨셉은 상대적으로 중·고가인 대형 브랜드 위주로 구성됐다. 한 업체 관계자는 “무신사는 개성 있는 디자이너 브랜드, W컨셉은 인지도 있는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즐겨 찾기 때문에 알테쉬의 저가 의류 공세로부터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했다”고 설명했다.
패션 플랫폼들이 최근 브랜드와의 협업이나 디자이너 육성 등을 강조하고 나선 것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지그재그는 지난해부터 개인쇼핑몰과 브랜드 상품을 함께 선보이는 연합 프로모션 행사를 열고 있다. 지난달 이랜드의 캐주얼 브랜드 ‘후아유’가 입점한 데 이어 이달에는 11개 대표 제조·직매형 의류(SPA) 브랜드와 손잡고 ‘스파위크’ 행사를 열었다.
에이블리는 ‘콘텐츠 비즈니스’ 강화로 방향을 잡았다.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고객 취향에 기반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무신사는 플래그십 스토어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올해 비수도권을 포함해 30개 이상 열기로 하고 오프라인 확장에 나섰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