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 열린 이탈리아 밀라노 가구박람회. 세계의 관심이 쏠린 곳은 한국에서 온 한 앳된 얼굴의 청년이었다. 그의 이름은 이광호. 27세밖에 되지 않은 그는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가 차린 글로벌 프로젝트 부스에 유일한 아시아 작가로 이름을 올렸다.
이광호가 더욱 주목받은 이유는 그의 특이한 작업 방식 때문이다. 그가 쓰는 재료는 PVC와 전선. 그는 공업 재료들을 손으로 하나하나 꼬아 조명과 가구, 오브제를 창조하는 작가로 세계 미술계에 처음 자신의 존재를 알렸다. 펜디가 택한 20대의 무명 작가 이광호의 작업 과정을 ‘직관’한 갤러리와 글로벌 브랜드들은 일제히 그를 모셔가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펜디와 또 한 번 ‘매듭짓기’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지난해 디올이 차린 서울 성수 플래그십 스토어에 설치된 백색 의자도, PVC 전선으로 만든 디올의 한정판 레이디 백도, 용산 아모레퍼시픽 로비에 설치된 의자와 조명도 모두 그의 작품이다. 일본 긴자 에르메스에서도 이광호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또 올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에서 향수 브랜드 조말론의 공식 파트너가 돼 협업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글로벌 명품 브랜드와 미술계의 러브콜이 끊이지 않는 작가 이광호가 자신의 작업 세계를 돌아보는 전시를 선보인다. 리안갤러리 서울과 대구에서 열리는 전시 ‘Yesterday Is Tomorrow’를 통해서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의 최신작들이 소개됐다.
이광호의 설치 작업에서 ‘적동’과 ‘칠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재료다. 그는 붉은빛이 나는 구리를 모양내 가마에 굽고, 그 위에 칠보를 덧입히는 작업 방식을 고수해 온 작가다. 그가 구리를 좋아하는 이유는 ‘자율성’ 때문이다. 그는 “구리는 단단해 보이지만 비를 맞으면 색이 변하고, 열을 가하면 쉽게 물러져 작가의 손자국도 새길 수 있는 연약한 재료”라며 “내가 가진 고민을 시각화할 수 있고,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적동과 칠보 작업의 ‘진화된 버전’이 관객을 맞는다. 현장에서 이광호는 “나의 정체성과 같은 적동과 칠보를 사용했지만, 재료를 쓰는 방식을 완전히 바꿨다”고 말했다. 그의 모든 작업은 구리로 형태를 만들어 그 위에 칠보를 바른 뒤 가마에 구워내는 과정을 거친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는 이 과정을 여섯 번에서 일곱 번 반복했다.
작품의 형태를 잡는 과정도 특별했다. 서른 번이 넘도록 구리를 던지거나 구기고 밟기를 거듭했다. 여기에 한 작품에서 다양한 빛깔을 내기 위해 칠보를 몇 겹이고 덧입히는 고된 작업이 더해졌다. 과거에는 칠보를 물에 개 썼다면 이번엔 가루 자체를 흩뿌리기도 하고, 천장 위에서 떨구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다. 그는 작업 과정을 회상하며 “이전보다 몇십 배의 에너지를 쏟았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지하 공간이다.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마치 돌덩이 같은 찌그러진 구리 조형물들이 바닥에 흩뿌려지듯 놓여 있다. 전시장을 찾은 관객들이 돌들 사이를 지나다닐 수 있게끔 구상했다. 천장에서는 ‘구리 철사 빗줄기’가 쏟아진다. 철사도 직접 다 손으로 구겨 만든 뒤 가마에 구웠다. 그래서 모든 선의 두께도, 원근감도 다르다. 이 사실은 작품을 눈으로 관람하는 것만으론 느낄 수 없다. 직접 작품 사이를 지나가봐야 깨달을 수 있다.
이 설치작은 이광호가 2020년에 한 번 선보인 적 있다. 당시에는 돌멩이를 모두 반듯한 직육면체로 만들어 벽에 걸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 돌들을 바닥에 던져 구긴 형태로 떨어뜨렸다. 도형이 아니라 좀 더 자연에 가까운 형태다. 그는 “그땐 자로 잰 듯 반듯한 도형이 미적으로 완성됐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구겨진 모습이 더 아름답고 다양한 의미가 있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전시는 4월 20일까지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