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위원장을 만나 새 IFRS 회계기준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국제회계기준(IFRS)을 제정하는 IASB는 2027년부터 IFRS18을 의무 적용할 방침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한국 전 상장사들의 영업손익 구성 항목이 상당폭 달라진다.
1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안드레아스 바코브 IASB 위원장을 만나 최근 국제회계기준 재개정 동향을 논의했다.
IASB는 지난 9일 IFRS18 기준서를 확정발표했다. 영업항목을 투자와 재무를 제외한 모든 범주로 규정하는 게 특징이다. 이에 따라 제조·정보기술(IT) 등 비금융 분야 기업은 투자·재무손익, 법인세 비용, 중단사업손익을 제외한 모든 수익과 비용이 영업손익으로 규정해 공시하게 된다. 국제 IFRS상엔 없었던 개념이 새로 생긴 셈이다.
문제는 한국 기업들은 이미 영업손익 개념을 쓰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간 국내 기업은 수익에서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등을 차감해 영업손익을 표시해 왔다. 기존 관행을 반영해 한국이 채택한 국제회계기준(K-IFRS)에만 예외적으로 허용됐다.
IFRS18이 본격 시행되면 2011년 K-IFRS 전면 도입 이후 사용돼온 영업손익이 약 12년 만에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개정 기준을 도입하면 현재 ‘기타영업외손익’으로 구분되고 있는 유무형자산 손상차손, 처분손익, 기부금 등이 영업손익에 들어간다. 예컨대 현재 영업이익이 100억원이고 기타손익 중 유무형자산 손상차손 10억원이 있는 기업은 새 기준에 따르면 영업이익이 90억원이 된다는 얘기다
이같은 상황을 두고 김 부위원장은 "한국은 영업손익을 이미 표시하고 있다"며 "IFRS를 원칙적으로 전면 도입하겠지만 현 상황과의 정합성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바코브 위원장은 "IFRS18은 IFRS 회계기준 도입 이래 기업의 재무 관련 공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화"라며 "투자자들에게 기업 재무성과에 대한 더 나은 정보와 분석을 위한 일관된 기준을 제공할 것"이라고 답했다. IFRS18을 그대로 도입해줄 것을 에둘러 요청한 셈이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한국의 IASB 위원 진출에 대한 협조도 요청했다. 한국은 2020년 이후 IASB 위원을 배출하지 못했다. 국제회계기준 제·개정에서 한국의 목소리를 전달할 핵심 통로가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회계업계에 따르면 IASB는 연내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위원을 선정한다.
김 부위원장은 "한국이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IASB 위원 선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한국이 IFRS를 전면 채택한 모범국가라는 점과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 등을 고려해 이번 지역 IASB 위원에는 한국 후보가 반드시 선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했다.
바코브 위원장은 이에 대해 "IASB 위원 선발에 대한 관심에 감사를 표한다"며 "회계기준에 대한 전문성과 기준 제정 업무에 높은 이해를 가진 역량 있는 후보를 IASB 위원으로 선발하겠다"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