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2일까지 DLB 발행액(원화+외화) 합산액은 4조8125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발행된 파생결합증권 종류 중 발행액이 가장 많았다. 같은 기간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은 4조4145억원,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는 4조4290억원 수준이다. 이달만 놓고 보면 DLB 발행액이 7369억원으로 ELS 발행액(3606억원)의 두 배를 넘어섰다.
파생결합증권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ELS는 통상 DLB보다 발행액이 2~3배 많다. 그러나 홍콩 H지수 기반 ELS에서 거액의 손실이 발생해 올해 들어 ELS 발행량이 급감하면서 발행액이 역전됐다.
DLB는 원자재, 통화, 농산물, 금리 등을 기초자산으로 해 발행되는 파생결합증권이다.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 손실이 커질 수 있는 ELS와 달리 비교적 안전한 채권에 90% 이상 투자하고 나머지를 파생상품에 투자해 초과 수익을 낸다.
국내에서 발행되는 DLB는 다수가 금리형 상품이다. 최근 1년간 발행된 DLB 1374개(기초자산 1개 상품 기준) 중 ‘CD 91일 만기 금리’ 또는 ‘국고채 3개월 금리’를 기반으로 한 상품이 1222개로 88.9%를 차지한다. 기초자산이 국고채 금리라면 해당 금리가 발행사가 제시한 조건을 충족하면 약정한 수익률(쿠폰)을 지급한다.
가령 ‘하나증권(DLB) 1694회’는 만기 때 국채 금리가 발행 당시보다 8%를 초과해 오르면 연 3.91%, 8% 이하면 연 3.90%의 수익을 지급한다. 조건을 충족하든 충족하지 않든 수익률 차이는 0.01%포인트에 불과하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정기예금보다 높은 연 4~7%대 수익을 누리면서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을 원하는 기관들이 DLB를 사들이고 있다”며 “증시 불확실성이 커지고 예금 금리도 하락하고 있어 당분간 DLB 인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