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연구진이 2년 전 세계 최초로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의 데이터가 조작됐다는 지적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기술이 재현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제2의 황우석 사태’라는 지적도 나온다.
박 교수팀은 병원 등에서 사용 중인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의 해상도를 높여 뇌 신호를 실시간 관측하는 다이애나(DIANA) 기술을 당시 선보였다. 사람의 생각 흐름을 시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한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2년이 넘도록 박 교수 당사자를 제외하고 아무도 다이애나 기술을 재현하지 못하면서 해당 논문이 도마에 올랐다. 다른 MRI 연구자들이 이 기술을 구현하는 데 실패한 결과를 속속 공유하기 시작했다. 김성기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석좌교수는 지난해 5월 논문 사전출판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기술 재현이 불가능하다는 실험 결과를 올렸다. 데이터를 취사선택하는 조작 과정을 거쳐야만 2022년 논문과 비슷한 결과치를 얻을 수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주장이었다. 김 교수의 실험 결과는 지난달 27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실렸다. 김 교수는 MRI 분야 세계적 석학이다.
지난달 미국에서도 비슷한 결론의 논문이 나왔다. 앨런 자사노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핵의공학과 교수팀은 다이애나 기술로 나오는 결과에 의문점을 던졌다. 이들은 박 교수팀과 비슷한 신호를 관찰했지만 전기 자극을 주지 않은 동물이나 사망한 경우에도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신호가 실제 신경활동과 무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데이터를 일부 편집했다면 그 세밀한 조건에 대해 명확히 공개했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박 교수는 “후속 논문 발표와 함께 진행하기 위해서”라고 반박했다. 다이애나 기술을 활용한 후속 논문을 발표해 그간의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두 달 안에 좋은 후속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사이언스에 원천 기술에 대한 소스코드(설계도)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다이애나처럼 신규 기술의 경우 논문 발표 때 소스코드까지 공개하는 게 일반적인데 박 교수팀의 논문에는 재현을 위한 충분한 정보가 빠져 있었다. 박 교수는 “정보를 어디까지 공개해야 할지 몰랐을 뿐”이라며 “결론을 가정하고 만든 데이터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
아무도 재현 못하며 논란 불거져
16일 과학계에 따르면 박장연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이 2022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이 조작됐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박 교수팀은 병원 등에서 사용 중인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의 해상도를 높여 뇌 신호를 실시간 관측하는 다이애나(DIANA) 기술을 당시 선보였다. 사람의 생각 흐름을 시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한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2년이 넘도록 박 교수 당사자를 제외하고 아무도 다이애나 기술을 재현하지 못하면서 해당 논문이 도마에 올랐다. 다른 MRI 연구자들이 이 기술을 구현하는 데 실패한 결과를 속속 공유하기 시작했다. 김성기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석좌교수는 지난해 5월 논문 사전출판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기술 재현이 불가능하다는 실험 결과를 올렸다. 데이터를 취사선택하는 조작 과정을 거쳐야만 2022년 논문과 비슷한 결과치를 얻을 수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주장이었다. 김 교수의 실험 결과는 지난달 27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실렸다. 김 교수는 MRI 분야 세계적 석학이다.
지난달 미국에서도 비슷한 결론의 논문이 나왔다. 앨런 자사노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핵의공학과 교수팀은 다이애나 기술로 나오는 결과에 의문점을 던졌다. 이들은 박 교수팀과 비슷한 신호를 관찰했지만 전기 자극을 주지 않은 동물이나 사망한 경우에도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신호가 실제 신경활동과 무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데이터를 일부 편집했다면 그 세밀한 조건에 대해 명확히 공개했어야 한다”고 했다.
보완 자료 기한인 8월 결판날 듯
박 교수가 일부 데이터를 자의적으로 편집했다면 이는 연구 부정 행위다.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사이언스는 지난해 8월 해당 논문이 편향됐을 여지가 있다고 경고하는 한편 박 교수팀에 보완 데이터를 요청했다. 박 교수는 올해 8월까지 제출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교수는 “이미 나온 논문의 추가 데이터를 준비하는 데 1년이나 소요되는 건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이에 박 교수는 “후속 논문 발표와 함께 진행하기 위해서”라고 반박했다. 다이애나 기술을 활용한 후속 논문을 발표해 그간의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두 달 안에 좋은 후속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사이언스에 원천 기술에 대한 소스코드(설계도)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다이애나처럼 신규 기술의 경우 논문 발표 때 소스코드까지 공개하는 게 일반적인데 박 교수팀의 논문에는 재현을 위한 충분한 정보가 빠져 있었다. 박 교수는 “정보를 어디까지 공개해야 할지 몰랐을 뿐”이라며 “결론을 가정하고 만든 데이터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