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훌륭한 음악가가 이렇게나 많은데, 국제 음악제 하나 없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
폴란드 출신 거장 작곡가 겸 지휘자인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가 생전(1995년)에 남긴 말이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국내에도 통영국제음악제(2002년), 평창대관령음악제(2004년), 서울국제음악제(2009년) 등 굵직한 클래식 음악 페스티벌이 잇따라 생겨났지만, 여전히 해외 관광객 무리가 찾아올 정도로 세계적 명성을 자랑하는 음악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지난해 집계된 통영국제음악제와 평창대관령음악제 관람객 수는 각각 1만3000여 명, 1만300여 명에 그친다. 이들보다 늦게 생겨난 일본의 클래식 음악 축제인 ‘도쿄 스프링 페스티벌’(3만3000여 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국가적 차원의 중장기적 육성 전략 부재, 지방자치단체의 졸속 예산 삭감 등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고질적 병폐가 문화예술 축제 운영 과정에서도 어김없이 뿌리내린 결과다. 클래식 음악계에서는 “한국은 임윤찬, 조성진 등을 배출하며 ‘콩쿠르 강국’이란 타이틀을 얻었지만, 부족한 인프라와 좁은 저변 등을 고려했을 때 ‘클래식 강국’으로 올라서기까지 가야 할 길이 멀다”며 “그 나라의 문화예술 수준을 보여주는 클래식 축제에 대한 범정부적 차원의 기획·지원 체계가 허술한 건 이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랬던 평창대관령음악제가 몸살을 앓고 있다. 주최 측인 강원도가 지난해부터 돌연 음악제 예산을 대폭 삭감하면서다. 2022년 예산은 도비 16억원, 평창군비 1억원에 관람권 수익과 후원사 협찬 등을 합쳐 25억원 규모였다. 그런데 지난해 도비가 10억원으로 전년 대비 37.5%나 줄어들면서 평창대관령음악제는 전체 사업 규모를 축소해야 했다. 동절기에 열리는 대관령겨울음악제는 예산 3억원이 전액 삭감되면서 아예 간판을 내렸다. 올해도 강원도가 평창대관령음악제에 책정한 예산은 10억원에 그친다. “지자체 재정 악화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란 게 강원도 측 입장이다.
평창대관령음악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통한 국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어 추가 재원 조달 방안도 찾기 어려운 형편이다. 2004~2019년만 해도 지역대표공연예술제 지원 사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국비(연 5억5000만원)를 받아왔으나, 2020년 사업 예산 배정과 운영권이 모두 지자체로 이관된 이후부터는 강원도 지원 예산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올해 16회를 맞은 서울국제음악제도 일관성 없는 지원 체계에 어려움을 겪어온 국내 주요 문화예술 축제 중 하나다. 서울국제음악제는 201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행사 지원사업 공모에서 탈락했는데, 그 이유가 축제 예술감독인 작곡가 류재준이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랐기 때문으로 밝혀지며 논란이 됐다. 2018년엔 예술위로부터 3억원가량을 지원받았지만, 2019년 국비 지원금이 전년 대비 73% 삭감된 8000만원으로 책정되면서 존립 위기를 맞기도 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는 클래식 음악 축제는 통영국제음악제다. 독일 일간지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차이퉁에서 ‘아시아의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이라고 소개할 정도로 유망한 축제지만, 해외 주요 음악제와 비교하면 지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통영국제음악제는 2020년 예술위 지원사업으로 선정돼 3년간 연 5억5000만원의 국비를 받았고, 2023~2025년엔 매년 6억원씩 지원받는다. 국비를 포함한 올해 총예산은 21억9500만원. 홍콩 아트 페스티벌이 홍콩특별행정구(SAR) 보조금 1889만홍콩달러(약 33억원)를 포함해 연간 1억5000만홍콩달러(약 266억원)의 예산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친다. 유럽과의 격차는 더욱 심하다.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은 연간 6750만유로(약 995억원), 스위스 루체른 페스티벌은 연간 2500만프랑(약 37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슈퍼스타급 아티스트 등으로 이제 막 주목받는 ‘K클래식’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국가적 차원의 전략적 기획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음악 칼럼니스트 이지영 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은 “유럽뿐 아니라 일본, 홍콩 등 아시아에서도 클래식 음악 축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투자와 지원은 상당히 활발한 편”이라며 “이젠 우리도 그 나라를 대표할 만한 순수 문화예술 축제를 집중 육성하는 데 집중해야 할 때”라고 했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