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국가 니카라과에서 한국 주재 대사가 돌연 경질된 것으로 알려졌다. 니카라과는 최근 북한·중국·러시아 등과 연대를 강화하고 있어 미국의 새로운 골칫거리로 떠오르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니카라과 정부는 23일(현지시간) 관보를 통해 "제니아 루스 아르세 세페다의 주한대사(특명전권대사) 임명을 17일자로 철회한다. 이는 관보 게재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아르세 세페다 전 대사는 지난해 10월17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했다. 신임장 제정은 파견국 국가 원수가 신임 대사에게 수여한 신임장을 주재국 국가 원수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신임장 제정 6개월 만에 경질된 것이다.
니카라과 정부는 주한 대사의 경질 이유를 알리지 않았다. 후임자 임명 여부도 알려지지 않았다.
인구 700만 명이 살고 있는 니카라과는 중남미에서 쿠바, 베네수엘라와 함께 대표적인 반미(反美) 노선을 취하는 나라다. 커피 원두가 유명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또 야구의 인기가 많은 나라 중 하나다. 한국과는 1962년 수교했다. 다만 2018년 반정부 시위 이후 치안이 악화돼 외교부로부터 여행 자제 지역으로 지정됐다.
니카라과는 반미 노선과 함께 최근 북한·중국·러시아와 밀착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로사리오 무리요 니카라과 부통령은 미국의 제재를 '불법 침략'으로 간주하고 러시아와 함께 이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2007년 재집권 이후 장기 집권을 이어가고 있는 다니엘 오르테가 정부는 오래 전부터 러시아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22년엔 러시아군의 자국 영토 진입을 허용했고,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철군을 요구하는 유엔 결의안에 대해 북한, 시리아, 벨라루스 등과 함께 반대표를 던지기도 했다. 러시아가 니카라과에 원자력 기술을 지원해주는 원자력 협정까지 맺었다.
중국과도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2021년 대만과 수교를 끊고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지난해에는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경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은 니카라과의 최대 교역국 중 하나다. 또 중국 언어교육협력센터와도 MOU를 맺고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중국어 교육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북한과는 상호 대사관을 개설하기로 지난해 합의했다. 니카라과는 멕시코, 베네수엘라, 쿠바, 브라질 등과 함께 평양에 대사관을 설치한 몇 안되는 중남미 국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7월 산디니스타 혁명기념일 44주년을 기념하며 직접 오르테가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축하를 전했다.
이 같은 행보 탓에 미국 입장에서는 니카라과가 골칫거리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장기 독재와 인권 탄압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니카라과는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질서에 반발하고 있다. 미국은 2021년 오르테가 대통령이 또 재선하자 오르테가 대통령과 로사리오 무리요 부통령 겸 영부인 등 니카라과 정권 인사들에 입국 금지령을 내렸다. 2022년엔 니카라과 정부 관계자 93명이 민주주의 훼손을 이유로 미국의 제재 리스트에 추가됐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