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비엔푸시에서 지난 7일 열린 ‘전승 70주년 기념식’에 프랑스가 처음으로 대표단을 보냈다. 국방장관과 보훈장관은 굴욕의 현장에서 “과거는 직시하되 미래를 바로 보자”고 강조했다. 베트남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 긴밀히 하자”고 화답했다. 선혈로 얼룩진 과거를 딛고 미래의 ‘베프’를 다짐한 것이다.
디엔비엔푸 전투는 한국의 아픈 역사와도 맞닿는다. 1954년 열린 제네바회담의 양대 주제가 바로 막 휴전한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통일·분단 문제였다. 회담 결과는 정반대로 났다. 베트남은 공산주의와 자유주의 진영으로 ‘공존’하다가 2년 후 총선거로 통일하는 안을 선택했다. 힘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북베트남의 일종의 통일전선전술이었다. 모두 아는 대로 베트남은 공산당이 1975년 무력통일했다.
한반도에서도 ‘유엔 주관으로 총선거를 치르자’는 최종안이 제시됐고 미국도 강권했다. 하지만 ‘주한 미군 철수’로 이어질 암수임을 간파한 이승만이 결연히 막아냈다. ‘우리가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이므로 유엔 주관선거는 북에서만 치르면 된다’는 명분이었다. 그의 리더십이 없었다면 한반도도 베트남처럼 됐을지 모를 일이다.
과거를 뛰어넘어 미래를 선택하는 건 프랑스와 베트남만의 일이 아니다. 미국은 새로운 경제·안보 질서를 주도하기 위해 본토를 공습한 일본의 재무장까지 지원하고 나섰다. 영국 작가 하틀리의 통찰처럼 ‘과거는 다른 나라(Foreign Country)’다.
백광엽 논설위원 kecor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