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2월 15일자 A1, 3면 참조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플랜트 건설 근로자 수요는 14만4600명으로 추산된다. 업계에선 이를 기준으로 올해 2만1000명의 근로자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비가 9조원에 달하는 에쓰오일의 초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사업인 ‘샤힌 프로젝트’를 비롯해 전국에서 12개 사업이 줄줄이 진행되거나 예정돼 있어서다. 이들 현장에 들어가는 투자금은 52조원에 달한다.
업계는 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플랜트 건설업을 비전문 취업(E-9) 비자에 포함해 달라고 요구했다. 석유화학, 제철을 비롯해 플랜트 건설업은 내국인 일자리 보호, 기술 유출 방지 등을 이유로 2007년부터 외국 인력 고용이 금지됐다. 대한건설협회 측은 “외국 인력 도입 대상이 비숙련·단순노무직에 한정하면 내국인 일자리 침범이 없을 것”이라면서 “현재 플랜트 현장에선 중요 기술 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돼 중앙통제시스템에 전송되기 때문에 기술 유출 문제도 없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올해 하반기에 인력 부족이 절정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울산의 샤힌 프로젝트가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시설 공사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력난으로 공기가 늦춰질까 봐 해외에서 모듈을 만들어 국내로 들여오는 플랜트 현장도 있다”며 “해외 인력을 둘러싼 갈등 때문에 오히려 국내 일거리가 사라지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노조는 오히려 일거리에 비해 인력이 넘치는 상황이라고 주장하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현재 플랜트건설노조 조합원은 약 9만7000명이다. 이들이 매달 내는 조합비를 따져봤을 때 약 52%(5만 명가량)는 만성 실업 상태라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플랜트건설노조 관계자는 “저임금 외국 인력 도입은 플랜트 건설 현장의 노동 조건을 급격히 악화시킬 것”이라며 “외국 인력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중대 재해 발생 가능성도 증폭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조속히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이유가 노조의 파업 가능성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노조 파업도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외국 인력 도입을 결정했는데 노조가 파업하면 되레 인력난을 가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용/곽용희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