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요즘 이 문구는 이렇게 패러디되고 있다. “If it’s Boeing, should I be going?(보잉인데, 가야 하나요?)” 보잉 항공기의 각종 사고가 끊이지 않고 이어지면서 승객들의 조롱거리로 전락한 것이다.
올 들어 보잉 항공기 사고는 벽두부터 꼬리를 물고 있다. 알래스카항공의 보잉 737 맥스 9 여객기가 5000m 상공 비행 중 동체에 냉장고만 한 구멍이 뚫려 비상착륙 하는 등 1월에만 다섯 차례 크고 작은 사고가 났다. 그 뒤로도 △운항 중 객실 연기 발생으로 회항 △착륙 중 활주로 이탈 △이륙 중 엔진 덮개 탈거로 회항하는 사고가 터졌다. 얼마 전에는 튀르키예와 세네갈에서도 이틀 새 세 건의 사고가 잇달아 발생, 국제적 망신을 샀다.
108년 전통의 보잉은 품질 최우선의 엔지니어 회사로 정평이 나 있었다. 그러나 1996년 당시 금액으로만 133억달러를 들인 맥도널 더글러스 인수 뒤에는 수익 제일주의로 기조가 바뀌면서 품질 누수가 지속됐다는 분석이 많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 대량 해고로 이전에는 15명이 하던 한 근무조의 품질 검수를 불과 한 명이 맡으면서 항공기의 문 고정 볼트가 빠진 채 출고되는 것과 같은 어이없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의 반응은 냉정하다. 현재 보잉의 항공기 인도와 주문 건수는 후발 주자인 에어버스에 밀리고 있다. 주가 역시 에어버스가 연초 대비 15% 상승했는데 보잉은 28%나 떨어졌다. 엔지니어 경험이 없는 재무 전문가인 데이브 칼훈 회장은 잇단 사고의 책임을 지고 올 연말 중도 퇴임할 예정이다. 항공업계와 승객들은 보잉이 어떤 환골탈태를 보일지 새 경영진 구성을 주시하고 있다. 결국 답은 업의 본질 회복에 있다.
윤성민 논설위원 smyo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