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겨냥해 64조원이 넘는 사상 최대 규모의 반도체 투자기금을 조성했다. 미국 등 서방의 대(對)중국 첨단기술 수출 통제 조치 등에 맞서 반도체 육성에 국가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대 주요 국유은행을 비롯해 선전과 베이징 등 지방 정부가 소유한 투자회사들도 출연했다. 선전시는 수년간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웨이테크놀로지스를 구제하기 위해 광둥성의 여러 반도체 제조공장에 자금을 지원해 왔다. 기금은 장신을 대표로 둔 별도 법인이 운영하지만, 중국 정부와 국유은행 및 국유 투자회사들이 대거 출연한 점에 비춰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사실상 직접 운영하는 기금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3차 펀드는 중국과 기술패권 경쟁을 펼치고 있는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산업 견제를 대폭 강화한 시점에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미국,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810억달러(약 110조5000억원)가량을 투자하면서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부터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해 반도체 등 중국 하이테크 기업을 제재하고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2021년 취임 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금지 등의 조처를 강화했다.
미국 정부가 자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을 확대한 기업에 527억달러(약 70조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반도체 지원법을 시행한 것도 중국을 겨냥한 조치다. 미국은 2022년 10월 자국 기술이 쓰인 첨단 반도체 장비 및 인공지능(AI) 반도체 등의 대중국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한 데 이어 중국산 반도체 관세율을 올해 25%에서 내년 50%로 올리는 등 반도체 분야에서 전방위적 대중국 압박에 나서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한국과 네덜란드, 독일, 일본을 포함한 동맹국에 중국의 반도체 접근 제한을 강화하도록 촉구하자 반도체 자체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중국 정부가 이에 맞서 3차 펀드를 조성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한국, 일본 등 각국이 앞다퉈 자국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책을 내놓은 가운데 중국도 이에 가세해 첨단 반도체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한층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펀드 조성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주요 반도체업체 주가는 급등했다. 중국 최대 반도체 제조사인 SMIC는 이날 홍콩증시에서 5.4% 상승했고 화훙반도체도 6% 이상 올랐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
국유은행 주도 3차 펀드 조성
27일 중국 기업정보 사이트 톈옌차에 따르면 중국의 반도체산업 육성 펀드인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은 지난 24일 3440억위안(약 64조6720억원) 규모의 3차 펀드 조성을 마무리했다. 중국 재무부와 공상은행을 포함한 국유은행이 출자자로 참여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3차 펀드의 최대 주주는 중국 재정부로 전체 지분의 17.4%를 차지한다.6대 주요 국유은행을 비롯해 선전과 베이징 등 지방 정부가 소유한 투자회사들도 출연했다. 선전시는 수년간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웨이테크놀로지스를 구제하기 위해 광둥성의 여러 반도체 제조공장에 자금을 지원해 왔다. 기금은 장신을 대표로 둔 별도 법인이 운영하지만, 중국 정부와 국유은행 및 국유 투자회사들이 대거 출연한 점에 비춰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사실상 직접 운영하는 기금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압박하는 미국
중국은 지난 10년 동안 SMIC를 비롯한 중국 내 반도체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국가 자본을 투자해왔다. 중국 정부는 2015년 하이테크산업 육성책인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면서 1387억위안(약 26조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산업 육성 1차 펀드를 조성했다. 2019년 조성된 2차 펀드는 2000억위안(약 37조6000억원) 규모였다.이번 3차 펀드는 중국과 기술패권 경쟁을 펼치고 있는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산업 견제를 대폭 강화한 시점에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미국,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810억달러(약 110조5000억원)가량을 투자하면서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부터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해 반도체 등 중국 하이테크 기업을 제재하고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2021년 취임 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금지 등의 조처를 강화했다.
미국 정부가 자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을 확대한 기업에 527억달러(약 70조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반도체 지원법을 시행한 것도 중국을 겨냥한 조치다. 미국은 2022년 10월 자국 기술이 쓰인 첨단 반도체 장비 및 인공지능(AI) 반도체 등의 대중국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한 데 이어 중국산 반도체 관세율을 올해 25%에서 내년 50%로 올리는 등 반도체 분야에서 전방위적 대중국 압박에 나서고 있다.
“자본 투자로 견제 돌파”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사상 최대 규모의 3차 펀드를 조성한 것은 미국 등 서방이 첨단기술의 대중 수출 통제 등으로 중국의 발전을 막더라도 과학기술 자립자강과 인재 육성 등을 통해 이를 돌파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한국과 네덜란드, 독일, 일본을 포함한 동맹국에 중국의 반도체 접근 제한을 강화하도록 촉구하자 반도체 자체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중국 정부가 이에 맞서 3차 펀드를 조성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한국, 일본 등 각국이 앞다퉈 자국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책을 내놓은 가운데 중국도 이에 가세해 첨단 반도체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한층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펀드 조성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주요 반도체업체 주가는 급등했다. 중국 최대 반도체 제조사인 SMIC는 이날 홍콩증시에서 5.4% 상승했고 화훙반도체도 6% 이상 올랐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