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도 물가 상승률만큼 매년 연금액이 오르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쉽게 수급액이 인상되지 않는다. 2004년 연금 대개혁으로 도입한 지급액 억제 장치 ‘거시경제 슬라이드’ 때문이다. 연금 재정 악화를 막기 위해 도입한 이 장치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조정률을 반영, 지급액을 임금 또는 물가 상승분 이하로 낮춘다.
이 제도는 일본의 연금이 100년 뒤에도 바닥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 토대 중 하나다. 다른 하나는 보험료율. 일본은 2003년 13.58%였던 후생연금 보험료율을 2004년부터 매년 단계적으로 인상해 2017년 18.3%까지 올렸다. 2004년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100년 안심’을 내걸고 ‘더 내고, 덜 받는’ 연금 개혁을 밀어붙인 결과다.
일본의 연금 개혁은 현재진행형이다. 5년에 한 번씩 재정 검증을 하고 경제·사회 변화에 맞춰 필요한 개혁을 또 실시한다. 5년 만에 재정 검증을 하는 올해는 기초연금 보험료 납부 기간을 현행 40년(20~60세)에서 45년(20~65세)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증한다.
지금 구조로는 기초연금 수급액이 2040년대 중반부터 30%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일본 정부는 판단했다. 후생연금을 합친 소득대체율은 60%에서 50%로 떨어진다. 이번 개혁은 보험료 납입 기간을 늘려 수급액을 끌어올릴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핵심이다. 100년 뒤 재정 안정을 넘어 연금 보장성을 더 높이겠다는 것이다.
한국의 국민연금 기금은 30년 뒤 고갈된다. 당장 6년 뒤부터 그해 지급할 연금을 그해 거둔 보험료로 충당하지 못해 주식 등 기금 자산을 팔아야 할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21대 국회 임기 내 연금 개혁은 끝내 무산됐다. 26년 동안 9%로 동결한 보험료율을 13%로 올리자고 합의하고도 또 다른 정치 셈법에 기회를 날렸다.
2004년 일본의 연금 개혁 이후 치러진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고이즈미 전 총리의 집권 자민당은 야당에 패배했다. 인기 없는 개혁의 대가다. 20년이 지난 지금 여론조사에서 고이즈미 전 총리는 2001년 이후 일본의 역대 총리 중 호감도 1위로 꼽힌다. 정치인에 대한 평가는 후대가 결정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