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해럴드 윌슨 영국 총리(노동당)가 북해 유전 개발에 나섰을 때 국민과 야당을 설득하던 말이다. 당시 영국 경제는 어려워지고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종전에 따른 성장 모멘텀은 소진됐고, 석탄 철강 자동차 등 핵심 산업에선 경쟁력을 잃었다. 잦은 노사 갈등과 파업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영국 정부는 이를 북해 유전 개발로 극복하려 했다. 북해엔 석유·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됐지만 본격적인 개발은 1964년 5월 대륙붕법 제정과 함께 시작됐다. 개발은 쉽지 않았다. 북해는 거칠고 수심이 깊었으며 당시 해양 탐사 기술은 초기 단계에 불과했다. 언론들은 탐사 성공 가능성을 10% 미만으로 추정했다. 당시 야당인 보수당은 “실패 확률이 높은 탐사에 막대한 세금을 쓰는 건 무책임하다”며 반대했다. 일부에선 석유회사들이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국민은 혜택을 보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전 개발은 모험일 수밖에 없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초기 탐사 단계에서 석유·가스 매장지가 존재한다는 걸 확인할 확률은 1% 미만이다. 매장지를 찾아도 시추를 통해 실제 석유·가스를 채취할 수 있을 확률이 20~30% 정도로 낮다. 또 탐사와 시추가 성공해도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유전일 확률이 50~80%다. 탐사부터 시추, 개발이 모두 성공해야 하므로 성공 확률이 낮다. 그러나 성공하면 막대한 보상이 뒤따른다. 1999년 북해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 600만 배럴에 달했다.
다시 영국으로 돌아가자. 북해 유전 개발은 1960년대 노동당이 시작했지만 이를 확대한 건 보수당이었다. 오일 쇼크 속에 1979년 등장한 마거릿 대처 총리는 국영 석유회사를 민영화하고, 개발에 대한 세금 감면을 통해 투자를 유도했다. 또 환경 규제를 완화해 줬다. 석유 개발엔 여야가 따로 없었다는 얘기다.
정말 경북 포항 앞바다에 매장 가능성이 10%라도 있다면 탐사부터 해야 한다. 정쟁을 떠나 큰 그림에서 한국 경제를 생각하자. ‘산유국의 꿈’을 이루기 위한 투자라면 시추 비용 5000억원은 아깝지 않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