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어쩌나"…8조3000억 '대형 프로젝트' 위기 맞았다

입력 2024-06-24 11:17   수정 2024-06-24 11:30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인 청정수소 프로젝트가 지역 사회와 환경 단체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면서 불확실한 미래를 마주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수소 생산 과정이 환경친화적이지도 않을뿐더러 경제적이지도 않다는 이유에서다.
◆지역사회 반대에 프로젝트 지연
FT에 따르면 천연가스회사 EQT와 CNX, 석유회사 마라톤 페르롤리옴 등이 참여한 애팔래치아 지역 청정 수소 허브(ARCH2) 프로젝트는 탄소 배출과 상업적 타당성에 대한 의구심으로 환경 단체와 지역 사회의 반대에 직면했다.

ARCH2는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에 걸쳐있다. 주로 천연가스와 탄소 포집을 사용하여 2030년 중반까지 수소를 생산하도록 설계됐다. 프로젝트 규모는 약 60억달러다.

지난달에는 50개 이상의 지역 환경 단체가 미국 에너지부에 서한을 보내 프로젝트에 대한 더 명확한 정보가 제공될 때까지 ARCH2에 대한 협상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톰 토레스 오하이오 리버밸리 연구소 코디네이터는 “이것은 (석유 및 가스) 산업이 그들이 만든 기후 위기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신들을 다시 활용하려고 하는 시도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프랑스 CMG 클린테크는 역시 플로리다주 오시올라 카운티에 있는 1억 1300만 달러 규모의 재생 기술 단지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는 약 8개월가량 지연됐다.
◆“블루수소는 친환경 아냐”
청정 수소는 해운, 시멘트 생산 등의 분야를 친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특히 블루수소(액화천연가스(LNG), 암모니아 등의 화석연료 개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제거한 청정수소)는 미국의 풍부하고 저렴한 가스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청정수소 생산을 가속하는 미국은 2030년이면 세계 최대 청정 수소 생산국 지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1000만 톤의 청정 수소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컨설팅 업체 블룸버그NEF(BNEF)에 따르면 그중 블루수소가 생산량의 75% 이상을, 그린수소는 약 20%를 차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블루수소 생산 과정에서 많은 탄소가 배출되고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낮다는 점에서 블루수소 관련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블루수소 생산의 핵심인 탄소 포집 기술이 아직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스탠퍼드와 코넬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블루수소 생산 시 배출되는 탄소발자국은 난방을 위해 가스나 석탄을 태울 때보다 2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단체들은 이 지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블루수소 프로젝트가 화석연료 산업에 ‘생명줄’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며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그린수소로 투자 자금이 이동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상업성에 의문을 품는 투자자들이 많아지면서 수소 프로젝트는 자금 및 고객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BNEF는 미국 내 수소 프로젝트의 6%만이 의미 있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추정했다. 미국 유명 로펌 필스버리로의 엘리나 테플린스키 파트너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실제 수소 시장이 존재할 것이라는 신뢰가 부족하다”며 “많은 기업이 본격적인 투자를 하기 전에 관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 감소법의 청정 수소 생산 세액 공제에 대한 최종 규정이 마련되지 않은 것도 블루수소 도입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FT는 분석했다. 지난 2월 7개 수소 허브는 모두 재무부에 서한을 보내 “관련 규정이 크게 개정되지 않는 한 투자 유치 및 일자리 창출은 완전히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이든 정부는 작년 10월 7곳의 수소 허브를 선정하고 총 70억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