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00억 적자에도 "최고 혁신"…서울시민 열광한 정책

입력 2024-06-24 17:48   수정 2024-06-25 00:28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누적 대여가 2억 건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시범 운영 첫해인 2010년 440대에서 시작한 자전거 대수는 15년 새 4만5000대로 102배, 대여소는 44곳에서 2760곳으로 늘었다. 누적 이동 거리는 5억828만㎞로 지구 한 바퀴(4만㎞)로 나누면 1만2707바퀴를 돈 셈이다. 다른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할 정도로 ‘서울시민의 발’로 정착한 따릉이는 간판 혁신 사례로 꼽힌다.
따릉이 대수 15년 새 102배 증가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5월까지 따릉이 누적 이용 건수는 약 1억9000만 건이다. 서울시민 한 명당 따릉이를 최소 20번 이용한 셈이다. 같은 기간 대여소는 44곳에서 2760곳으로 늘었다. 정여원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시간당 1000원, 1년에 3만원으로 어디서든 무제한으로 탈 수 있는 따릉이를 배치해달라는 시민 요청에 따라 자전거와 대여소가 꾸준히 증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따릉이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캐나다 몬트리올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빅시에서 영감을 얻어 국내에 도입한 교통수단이다. 사업 초기에는 ‘서울 바이크’로 불렸다. 상암동과 여의도 두 개 거점에 440대가 배치됐다.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자전거를 빌리고 반납할 수 있는 시스템은 2015년 정식 도입됐다. 이후 따릉이 운영 대수는 4만5000대로 시범 운영 첫해인 2010년(440대) 대비 100배 이상으로 늘었다.

따릉이 인프라가 확장하면서 접근성도 나아지는 추세다.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박준규 씨(28)는 “오르막길에 있는 집 근처에도 따릉이 정류장이 있어 놀랐다”고 말했다. 올 1월 출시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 기후동행카드에 3000원을 추가로 내면 대중교통과 연계해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점도 수요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1등 혁신사례 뽑힌 ‘틈새교통 수단’
시와 서울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평일 출퇴근 시간에 따릉이 이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평일 이용 비중은 72%이며, 이 중 출퇴근 시간대 이용 비율이 19.1%를 차지했다. 약 1300만 건이던 주중 이용 건수는 2023년 3300만 건으로 2.5배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마곡 잠실 여의도 등 출퇴근 수요가 많고, 지하철과 대중교통 환승 이용이 잦은 지역의 따릉이 이용 빈도가 높다. 2019년에는 잠실이 있는 송파구(160만 건), 2023년에는 마곡지구가 있는 강서구(523만 건)에서 수요가 가장 많았고 송파구(400만 건) 영등포구(370만 건)가 그 뒤를 이었다. 시민들이 업무지구 내에서 단거리 통행을 위한 대체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공공자전거를 도입한 지방자치단체는 서울 말고도 대전(타슈) 세종(어울링) 광주(타랑께) 등 70여 곳이다. 이용도가 낮은 일부 공공자전거와 달리 서울의 따릉이는 성공적인 정책으로 꼽힌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7일 ‘제3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정책 사례’의 국내 최고 부문에 따릉이를 선정했다. 티머니·토스 앱 등 민간 앱과 연계한 결제 기능과 수요 공급 편차가 큰 지역은 집중관리 대여소로 지정해 전담 인력을 편성하는 시스템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용자 증가에 따라 운영·관리 비용이 늘고 있는 점은 풀어야 할 숙제다. 시에 따르면 따릉이는 2019년 89억원, 2020년 99억원, 2021년 103억원, 2022년 94억원 등 매년 100억원 안팎의 적자를 내고 있다. 시 관계자는 “15년째 동결된 요금을 인상하는 등 지속 가능한 정책을 펼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해련/오유림 기자 haeryo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