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덥길래…'줄줄' 녹아내린 링컨 조형물 '경악'

입력 2024-06-25 22:01   수정 2024-06-25 22:31


미국 북동부가 폭염에 신음하고 있다. 이상 기온으로 인한 더위에 1.8m 높이 밀랍 조형물도 아이스크림처럼 녹아내렸다.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워싱턴DC 개리슨 초등학교 교정에 설치된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 전 대통령 밀랍 조형물이 녹아버렸다. 지난 2월 샌디 윌리엄스 4세가 제작한 이 조형물은 1년간 개리슨 초등학교에 전시될 예정이었다.

샌디 윌리엄스 4세는 비영리단체 컬처럴DC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9월 같은 자리에 에이브러햄 링컨 조형물을 만들었다. 미국인들이 제2 건국이라고 부르는 남북전쟁(1861∼1865년)과 이후 재건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1년간 전시할 계획이었지만, 공식 공개 직전 누군가 불을 붙여 조형물을 크게 훼손했다.

결국 지난 2월 동일한 조형물을 다시 만들어 전시했지만, 최근 며칠간 섭씨 35도 안팎의 기온이 이어지면서 빠르게 녹아내렸다. 제작자인 샌디 윌리엄스 4세는 "주변 온도가 60도에 이르지 않는 한 조각상이 녹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며 무더위 때문에 조형물이 녹아내릴 줄은 상상하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조형물 제작을 지원한 현지 비영리단체 컬처럴DC도 날씨 때문에 조형물이 녹을 줄 몰랐다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최근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에서는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 기상청(NWS)은 미국 전역에서 약 1500만명이 폭염 경보, 9000만명이 폭염 주의보의 영향권에 놓였다고 분석했다.

워싱턴DC를 포함한 미 북동부 지역은 비교적 위도가 높아 기온이 낮은 지역으로 평가됐지만, 올해는 기온이 치솟으면서 주민 불편도 커졌다.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등 미 동북부 일부 지역은 예년보다 기온이 15도가량 올랐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폭염과 산불 등 기상 이변이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영향일 것으로 분석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