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테슬라 잡나…美전기차 기업 리비안에 7조원 투자

입력 2024-06-26 07:27   수정 2024-06-26 14:39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독일 폭스바겐이 미국 전기차 기업 리비안에 7조원을 투자해 전기차 모델을 공동 개발한다. 리비안의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50% 이상 급등했다.

폭스바겐은 2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 마감 후 리비안에 2026년까지 50억달러(약 7조원)를 투자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의 협업에 대한 기대감에 이날 11.96달러로 마감한 리비안의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한 때 18.8달러까지 치솟았다.

발표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1차로 무담보 전환사채 인수 방식으로 10억 달러를 리비안에 투자해 지분을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리비안의 대주주는 전략적 투자자인 빅테크 기업 아마존이며 지분율은 16% 정도다. 지분 취득 후 폭스바겐은 4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해 리비안과 합작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폭스바겐과 리비안은 “합작회사는 함께 통제되고 소유될 것”이라며 “차량 소프트웨어와 차세대 배터리로 구동되는 차량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리비안은 폭스바겐에 기술을 제공하는 대가로 은 자금 수혈로 2026년에 출시할 저가형 SUV 모델인 R2 개발 자금을 충당할 수 있을 전망이다.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출신 엔지니어 R.J. 스캐린지 최고경영자(CEO)가 창업한 리비안은 2021년 뉴욕 증시에 상장에 성공하며 테슬라의 잠재적 경쟁사로 평가됐다. 상장 직후 시가총액이 GM과 포드를 넘어서기도 했다.

그러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픽업트럭 판매량을 늘리는 데 실패하면서 나락으로 떨어졌다. 판매 부진으로 자금난에 빠지면서 129달러에 달했던 리비안 주가는 올해 한 때 10달러 아래로 폭락하기도 했다. 주력인 R1 모델은 1000마력이 넘는 출력(2024년 모델 기준)에 완충시 최대 주행거리가 670㎞에 달하는 성능을 자랑하지만, 픽업트럭과 SUV의 기본 가격이 각각 6만9900달러(9750만원)과 10만5900달러(1억4496만원)에 달한 탓이다.

리비안은 대주주 아마존이 배달용 전기차를 대량 구입하는 등 도움을 줬음에도 신생 제조 업체의 경험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해 생산량을 단기간에 확대하지 못했다. 에어백 결함과 헤드라이트 불량으로 인해 잇따라 리콜을 실시하는 등 품질 문제도 불거졌다. 그러는 사이 허머EV와 포드의 F-150 라이트닝 등 경쟁차종이 출시되면서 설 자리를 잃었다.

대형 메이커들과의 제휴도 잇따라 좌절됐다. 포드는 리비안과 전기차 개발 및 플랫폼 공유를 추진했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자신들의 F-150 라이트닝의 판매고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자 2021년 리비안을 손절했다. 이듬해 12월에는 리비안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한 자금을 지키기 위해 메르세데스 벤츠와 전기차 합작 생산 계약을 포기하기도 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