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창업자 구속으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핵심 사업과 경영 쇄신 작업을 당초 계획대로 끌고 나갈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그룹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 공동의장과 경영 쇄신 작업을 주도하던 경영쇄신위원장직을 맡았던 창업자가 구속되면서 비상경영 체제마저도 비상 상황을 맞은 셈이다.
김 위원장 구속으로 그간 그룹 차원에서 진행돼 왔던 핵심 사업과 경영쇄신 작업에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힘이 실린다.
김 위원장은 구속 전인 지난 18일 임시 그룹협의회를 열고 그룹 핵심 과제를 흔들림 없이 수행할 것을 당부하면서 분위기를 다잡았다. 당시 회의도 김 위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라는 관측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카카오 등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이 자리에서 그룹 핵심 과제를 충실히 끌고가기로 뜻을 모았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엄중한 현실 인식 하에 꼭 해야 할 일들을 과감히 실행해 갈 것"이라며 "임직원들도 흔들림 없이 본업에 충실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경영쇄신 작업을 주도했던 당사자가 구속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상황 변화가 따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비상경영을 선언하면서 자신이 직접 CA협의체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았다. 정 대표를 카카오벤처스 대표에서 카카오 대표로 올리고 준법경영을 위한 외부 감시기구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를 띄운 것도 김 위원장 의중이었다.
때문에 김 위원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이래 줄곧 추진해 왔던 '선택과 집중'도 동력을 잃지 않고 이어가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 2월 CA협의체를 확대 개편해 그룹 구심력을 강화했다. 실제로 카카오는 지난달 준신위와의 워크숍에서 책임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CA협의체를 중심으로 컨트롤타워 구조를 확립하고 김 위원장 주도로 경영쇄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카카오로선 김 위원장 구속이 창업자 개인의 신상문제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도 골칫거리다. 만약 SM엔터 시세 조종 혐의가 유죄로 판단되고 카카오 법인이 양벌규정에 따라 마찬가지로 벌금형 이상의 형이 확정된다면 카카오뱅크 대주주 자리를 내줘야 할 수도 있다. 산업자본이 인터넷은행 지분을 10% 넘게 보유하려면 최근 5년간 조세범처벌법·특정경제범죄법·공정거래법 위반 등으로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사실이 없어야 해서다.
준법경영 감시기구인 준신위가 창업자 구속과 관련해 별도 메시지를 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최종 결과가 나와야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유죄가 확정될 경우 카카오가 배상 책임을 물을지 여부도 재판 이후 주목될 대목 중 하나다. 카카오는 앞서 준신위 워크숍을 통해 고의적인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카카오가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기로 했는지, 김 위원장이 배상책임을 물을 대상에 포함되는지 등이 또 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빈자리는 CA협의체와 협의체 공동의장을 맡는 정 대표를 중심으로 채워나갈 것으로 보인다. 정 대표는 카카오 대표직에 내정되면서 공동의장을 함께 맡았다. 그는 공동의장직을 맡게 될 당시 "CEO들의 위원회 참여를 통해 그룹의 의사결정 맥락 이해를 높이고, 높아진 해상도를 바탕으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의 느슨한 자율경영 기조를 벗어나 구심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경영쇄신 등 그룹 핵심 과제 '경고등'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법 한정석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새벽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혐의(자본시장법 위반)를 받는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전날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자정을 넘겨 "증거인멸과 도주 염려가 있다"면서 이 같이 판단했다. 김 위원장 구속으로 그간 그룹 차원에서 진행돼 왔던 핵심 사업과 경영쇄신 작업에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힘이 실린다.
김 위원장은 구속 전인 지난 18일 임시 그룹협의회를 열고 그룹 핵심 과제를 흔들림 없이 수행할 것을 당부하면서 분위기를 다잡았다. 당시 회의도 김 위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라는 관측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카카오 등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이 자리에서 그룹 핵심 과제를 충실히 끌고가기로 뜻을 모았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엄중한 현실 인식 하에 꼭 해야 할 일들을 과감히 실행해 갈 것"이라며 "임직원들도 흔들림 없이 본업에 충실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경영쇄신 작업을 주도했던 당사자가 구속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상황 변화가 따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비상경영을 선언하면서 자신이 직접 CA협의체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았다. 정 대표를 카카오벤처스 대표에서 카카오 대표로 올리고 준법경영을 위한 외부 감시기구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를 띄운 것도 김 위원장 의중이었다.
때문에 김 위원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이래 줄곧 추진해 왔던 '선택과 집중'도 동력을 잃지 않고 이어가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 2월 CA협의체를 확대 개편해 그룹 구심력을 강화했다. 실제로 카카오는 지난달 준신위와의 워크숍에서 책임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CA협의체를 중심으로 컨트롤타워 구조를 확립하고 김 위원장 주도로 경영쇄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인자 빈자리·카뱅 지분·배상책임 등 '주목'
김 위원장 구속으로 카카오 주요 계열사들 사이에선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카카오 주요 계열사들은 바람픽처스 인수 관련 시세 조종, 카카오T 블루 콜 몰아주기, 가상화폐 횡령·배임 등 각종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다. 창업자 구속으로 리스크가 언제든 현실화할 수 있는 상황까지 내몰린 것이다. 카카오로선 김 위원장 구속이 창업자 개인의 신상문제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도 골칫거리다. 만약 SM엔터 시세 조종 혐의가 유죄로 판단되고 카카오 법인이 양벌규정에 따라 마찬가지로 벌금형 이상의 형이 확정된다면 카카오뱅크 대주주 자리를 내줘야 할 수도 있다. 산업자본이 인터넷은행 지분을 10% 넘게 보유하려면 최근 5년간 조세범처벌법·특정경제범죄법·공정거래법 위반 등으로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사실이 없어야 해서다.
준법경영 감시기구인 준신위가 창업자 구속과 관련해 별도 메시지를 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최종 결과가 나와야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유죄가 확정될 경우 카카오가 배상 책임을 물을지 여부도 재판 이후 주목될 대목 중 하나다. 카카오는 앞서 준신위 워크숍을 통해 고의적인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카카오가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기로 했는지, 김 위원장이 배상책임을 물을 대상에 포함되는지 등이 또 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빈자리는 CA협의체와 협의체 공동의장을 맡는 정 대표를 중심으로 채워나갈 것으로 보인다. 정 대표는 카카오 대표직에 내정되면서 공동의장을 함께 맡았다. 그는 공동의장직을 맡게 될 당시 "CEO들의 위원회 참여를 통해 그룹의 의사결정 맥락 이해를 높이고, 높아진 해상도를 바탕으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의 느슨한 자율경영 기조를 벗어나 구심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