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인도 정부가 '주식 광풍'을 잠재우기 위해 주식 양도소득세 및 파생상품 거래세를 대폭 인상했다. 'Z세대 도박장'이라고 불릴 만큼 투기 성향이 짙어진 선물·옵션 시장을 진정시키고, 저축을 통한 기업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으로 풀이된다. 최근 국내 해외투자자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아진 인도 상장지수펀드(ETF)에도 단기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니프티50 1.6% 하락했지만 대부분 회복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지난 23일 1년 보유 미만 주식의 양도소득세를 기존 15%에서 20%로, 1년 이상 보유 주식의 경우 10%에서 12.5%로 즉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2008년 이후 첫 양도소득세 인상이다.또 오는 10월부터는 선물 증권 거래세를 0.0125%에서 0.02%로 옵션 거래세는 0.0625%에서 0.1%로 올리기로 했다.
반면 36개월 이상 보유한 채권과 외국 기업이 2년 이상 보유한 비상장 주식에 대한 양도세는 기존 20%에서 12.5%로 인하한다.
발표 이후 인도 니프티50 지수는 한때 1.6%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낙폭을 대부분 회복해 0.12% 하락한 24479.05에 거래를 마쳤다. 트리딥 바타차리아 에델바이스 뮤추얼펀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세제 개편은 단기적으로 시장에 부정적이지만 투자자들을 장기 투자로 유도할 것"이라며 "과열된 옵션거래 시장을 합리성을 불어놓고 투자 행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투자 전문가들은 인도의 높은 인구 증가율, 낮은 주식시장 참여율, 중국 디리스킹에 따른 해외 기관투자자의 유입 등으로 인한 인도 증시의 성장세를 높게 보고 있다. 폴렌캐피털에 따르면 인도 가계 금융 자산이 주식이나 뮤추얼펀드에 투자된 비율은 7%로 미국(50%), 중국(41%) 등에 비해 현저히 낮다. 안드레이 스테센코 폴렌캐피털 파트너는 "금융 자산의 절반 이상이 은행 예금에 남아 있어 아직 성장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주장했다.
파생상품 개인투자자 90% 이상이 손실
이번 세제 개편은 최근 과열 양상을 보이는 인도 증권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인도 증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개인투자자를 중심으로 급성장했다. HSBC에 따르면 인도 증권 계좌 수는 2020년 3월 3600만개에서 지난달 1억6000만개로 3배 이상 증가했다. 2014년 38%였던 비기관 투자자 비중은 현재 절반 이상으로 늘었다. 그중에서도 파생상품 시장이 천문학적으로 커졌다.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2023/2024회계연도(2023년4월~2024년3월) 지수 옵션 명목 거래 규모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907조달러(약 125경7000조원)라며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을 경고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니프티50의 옵션 명목 거래 규모는 하루 평균 약 1조6400억달러(약 2270조원)로 미국 S&P500 지수(1조4400억달러)보다도 크다. SEBI는 파생상품 시장에서 활동하는 개인투자자의 90% 이상은 평균 1만2500루피(약 20만6000원) 이상 손실을 봤다고 지적했다.
'제로데이 옵션'은 투기장이 된 인도 파생상품 시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이는 생성 당일 만기 되는 당일치기 옵션 상품을 말한다. 인도 금융사 모틸랄 오스왈의 라암데오 아그라왈 회장은 "사람들이 풋(매도권)을 사고 풋을 팔고, 정말 미친 짓"이라며 "투기적인 활동이 많고 이는 카지노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아쉬쉬 굽타 액시스뮤츄얼펀드 CIO는 이를 "주식시장의 게임화"라고 평가했다. 굽타 CIO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 50만명 미만이었던 인도의 액티브 트레이더는 지난해 400만명으로 급증했다. 대부분 40세 미만 소도시 출신이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