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엔저 시대’가 저물면서 엔화 투자자들이 고민에 빠졌다. 800원대에 머물던 원·엔 환율은 900원을 넘어서더니 연일 상승세를 기록 중인 탓이다. 실제 기존 투자자들은 수익 실현 시점을, 아직 진입하지 못한 투자자들은 투자 여부를 놓고 고심 중이다. 고액 자산가들의 경우 자신들의 맡긴 자산을 관리하는 프라이빗뱅커(PB)의 조언을 듣고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향후 엔화 투자 전망과 투자 전략을 국내 시중은행을 대표하는 PB들에게 물었다.
그간 역대급 엔저가 이어지면서 엔화 투자 열기가 뜨거웠다. 5대 시중은행의 엔화 예금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조2111억엔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엔화가치가 급등하자 대거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엔화 예금 잔액이 작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 대비 감소(-818억엔)했다.
그렇다면 엔화 투자자들은 어느 정도 수익을 냈을까. 엔화의 원화 대비 가치가 가장 떨어진 것은 6월 말이었다. 지난달 28일 100엔당 855원60전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 수익률을 온전히 가져간 투자자는 극히 드물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함박눈 신한 PMW 잠실센터 PB팀장은 “작년 11월 투자자들의 수익률이 7%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이보다 비싸게 엔화를 산 고객들은 이제 손실을 면하거나 조금 수익이 난 수준”이라고 했다. 정성진 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부센터장은 “800원 후반대 투자에 나선 투자자들은 이후 원·엔 환율이 더욱 하락해 괴로운 시기를 보냈다”고 했다. 이서윤 하나은행 Club1센터 PB부장은 “일부 스마트 머니의 경우 장중에 920원을 터치할 때 비과세로 수익을 실현했다”고 전했다.
내년까지 염두에 둔 장기 투자자도 일부 있다. 이서윤 부장은 “상승 요건이 단기간에 충족되면서 가파르게 오른 탓에 900원선까지 조정이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1000원대 돌파 가능성을 보고 자산을 유지하고 있는 슈퍼리치들도 상당수”라고 설명했다.
투자를 해야 한다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는 환차익을 노린 투자가 유리하다는 입장이다. 김도아 팀장은 “일본 증시에 상장된 미 국채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한 상당수의 투자자의 경우 예상보다 엔화가치가 더욱 하락한데다 미국 국채 금리는 되레 오르면서 실제로 손해를 봤다”며 “두 가지 요건이 충족돼야하는 난이도 높은 투자보단 비과세 환차익을 얻을 수 있도록 엔화를 직접 보유하는 것이 낫다”고 했다. 이서윤 부장은 “ETF의 투자를 하려면 환헤지 상품을 택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기존 투자자들이라면 수익률 구간을 3가지로 구분해 차익 실현에 나서라는 조언도 이어졌다. 정성진 부센터장은 “환 투자는 오를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긴 싸움이 필요할 투자”라며 “한번에 높은 수익을 기대하지말고 예를 들어 915원, 925원, 935원 등 환 구간을 나눠서 매도하는 편이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박재원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