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가 최근 공개한 7월 고용동향은 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음을 보여줬다. 지난 5~7월 미국 실업률 평균은 4.13%로 지난해 3개월 평균치 저점 3.6%에 비해 0.53%포인트 높았다. 시장에서는 미국 중앙은행(Fed)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경제학자 클로디아 삼이 제시한 ‘삼의 법칙’에 주목하고 있다.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직전 12개월 최저치 대비 0.5%포인트 높으면 불황이 온다는 것이다. Fed의 다음달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고, 한꺼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스텝’ 가능성도 제기된다. 내수가 부진하지만 부동산 급등과 가계부채 급증으로 ‘피벗(통화정책 전환) 딜레마’에 빠진 우리 상황에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중국에 이어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의 침체는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수출에도 직격탄이다. 중동에선 1973년 4차 중동전쟁에 이어 ‘5차 중동전쟁’이 터지는 게 아니냐는 위기감이 증폭된다. 전쟁이 확전하거나,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면 유가가 폭등하고 물류 대란이 가중돼 인플레이션이 다시 가속화하는 악몽이 재현될 수 있다.
이렇게 상황이 엄중한데도 정부와 정치권은 그저 강 건너 불구경하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 정부는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역성장(-0.2%)한 이후 내수가 얼어붙고 수출이 주춤하지만, 여전히 낙관론을 펴고 있다. 22대 국회는 개원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극한의 정쟁에 매몰된 탓에 여야가 합의 처리한 민생 안건이 전무하다. “위기감이 없는 게 진짜 위기”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쓰나미급 대외 악재가 몰려오는 만큼 경각심을 높이고,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상정해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할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