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악의 저출생으로 ‘국가 소멸’까지 고민하는 한국이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지난달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목표인 1.0명으로 반등한다고 해도 2070년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1791만 명으로 ‘반토막’날 것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적극적인 이민 확대 외에는 ‘인구절벽’을 극복할 뾰족한 해법이 없는 이상 정교한 정책을 통해 인재를 유치하고, 그들과 공존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외국인을 더 이상 산업 현장의 부족한 일손을 메울 ‘일회용 근로자’로만 봐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선진국은 물론이고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역시 경제 발전과 함께 점점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각국 간에 치열한 이민자 유치 전쟁이 벌어질 수 있다. 당장 한국과 일본은 외국인 근로자 확보를 놓고 경쟁하는 상황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총인구가 3년 만에 반등한 것도 상주 외국인 증가 덕이다. 일본도 지난해 일본인 인구는 역대 최대인 86만 명 감소했지만 젊은 외국인이 사상 최대로 늘어나 생산가능인구는 크게 줄지 않았다.
지방의 제조업 현장은 이미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가동할 수 없다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청년들이 취업을 외면하는 자리에서 일하던 외국인도 몇 년 후면 떠나 기술 전수와 축적이 어렵다는 아우성은 오래전부터 나왔다. 정부 대응은 지방자치단체들에 비해 늦게 나온 만큼 제대로 속도를 내 추진하길 바란다. 정부 조직을 늘리는 게 능사는 아니겠지만 관련 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만큼 이민청 설치 문제도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