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중구 초량동의 한 골목에 초량재가 있다. 1950년대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옥으로, 근대 역사를 느껴볼 수 있어 부산의 명소로 자리 잡은 곳이다. 좁은 마당을 지나면 펼쳐지는 2층짜리 가옥이 지금 작은 미술관으로 변했다. 국내 작가와 팔레스타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다양한 국적 작가의 작품이 옥상, 바닥, 벽면을 가득 채웠다.
2024 부산비엔날레가 ‘어둠에서 보기’라는 주제로 지난 17일 65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갔다. 1981년 시작해 2년마다 관객을 만나는 국제 미술제다. 올해는 유럽을 무대로 활동하는 베라 메이, 필리프 피로트가 전시 감독을 맡았다. 36개국에서 부산을 찾은 작가 78팀이 선보이는 349점의 작품을 전시한다.
부산 사하구 부산현대미술관, 중구 한성1918, 초량재, 그리고 부산근현대역사관이 비엔날레 무대가 됐다. 옛 은행 금고를 미술관으로 바꾼 부산근현대역사관 금고미술관, 양옥 초량재 등 지역의 흔적을 그대로 담은 곳을 전시장으로 조성했다.
메이, 피로트 등 2명의 감독은 미국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의 책 <해적 계몽주의>에서 전시 영감을 얻었다. 바다 위에서 돌풍과 태풍 등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인물이 리더가 됐다는 해적 사회의 유연성에 주목했다. 유연성이라는 주제 의식에 맞춰 국적, 성별을 불문하고 다문화적이며 다양한 주제를 가진 작품을 선별했다.
부산현대미술관 1층 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작품이 대표적이다. 경남 양산 통도사성보박물관장을 지낸 송천 스님이 대형 불화를 내걸었다. 그 높이가 8m, 폭이 2m에 달한다. 벽에는 ‘진실의 눈’이라는 제목으로 눈알 네 개를 그려 넣었다. 송천 스님은 “언제나 진리의 시선은 내 곁에 있다는 의미로 이 눈을 그려 넣었다”고 말했다.
한 전시장에 들어서면 건어물 냄새가 가득하다. 냄새의 근원지는 태국 작가 소라윗 송사티야가 선보이는 설치작이다. 작가가 부산 자갈치시장을 찾아 버려지는 어패류 껍데기와 말린 멸치 등을 구입해 고향에서 가져온 얇은 등나무 덩굴로 엮었다. 어촌 마을에서 자란 어린 시절의 기억을 부산이라는 지역적 특징과 연결했다.
인도에서 온 라즈야쉬리 구디는 현대미술관 바닥에 도자기 그릇 수십 개를 엎어놨다. 그릇은 모두 부산에서 수집했다. 불교의 승탑을 해체해 바닥에 내려놓은 작품이다. 작가가 비엔날레 기간 현장을 찾아 그릇을 뒤집는 수행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아쉬운 부분도 있다. 두 감독이 네 곳의 전시장을 활용하다 보니 주제 의식이 뚜렷이 부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작가들이 어떤 연유로 함께 모여 있는지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같은 건물에서조차 주제 의식을 공유했다는 인상을 주지 못했다. 작품 제목, 작가 정보와 이력 등의 설명이 부족한 것도 부산비엔날레를 이해하기 어렵게 했다.
부산비엔날레는 오는 10월 20일까지 열린다. 부산현대미술관 입장료만 1만6000원이고 나머지는 무료다. 전시는 10월 20일까지다.
부산=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