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은행권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 배상에 따른 충당 부채가 전년보다 1조원 넘게 늘어나면서다. 가계·기업대출 확대 효과로 이자이익은 30조원에 육박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22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국내 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특수은행을 포함한 국내 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1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상반기(14조1000억원)와 비교해 1조5000억원(11%) 줄었다. 은행권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보다 감소한 것은 2022년(-1조2000억원) 후 2년 만이다.
순이익은 줄었지만 은행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은 역대 최대였다. 은행권의 올 상반기 이자이익은 29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29조4000억원)보다 4000억원(1.4%) 늘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예대금리차 축소로 순이자마진(NIM)은 작년 상반기 1.68%에서 올 상반기 1.62%로 0.06%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가계·기업 대출 확대로 이자수익 자산이 같은 기간 3119조원에서 3248조원으로 129조원(4.1%) 늘어나면서 이자이익 확대를 이끌었다.
이자이익 증가에도 은행 실적이 뒷걸음질한 것은 홍콩 ELS 손실 배상 때문이다. 은행권은 상반기 ELS 배상을 위한 충당부채를 1조4000억원 쌓았다. 이 여파로 작년 상반기 1조원 흑자를 기록한 영업외손익이 올 상반기 적자(-1조4000억원) 전환했다.
은행권 비이자이익은 작년 상반기 3조8000억원에서 올 상반기 3조4000억원으로 4000억원(11.4%) 감소했다. 수수료 관련 비이자이익은 2조6000억원에서 2조9000억원으로 늘었지만, 외환파생 관련 비이자이익이 1조3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6000억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은행수익성 지표도 악화했다. 상반기 은행권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67%로 전년 동기 대비 0.12%포인트 하락했으며,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9.03%로 같은 기간 1.82%포인트 떨어졌다.
특수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4조80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6조4000억원)보다 1조6000억원(24.5%) 감소했다. 특수은행은 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을 포함한다. 작년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 경영 정상화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부실에 대비해 쌓아 놓은 대손충당금이 환입되며 순이익이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감원은 “위기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의진/강현우 기자 justjin@hankyung.com
○2년 만에 순이익 꺾여
금융감독원이 22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국내 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특수은행을 포함한 국내 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1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상반기(14조1000억원)와 비교해 1조5000억원(11%) 줄었다. 은행권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보다 감소한 것은 2022년(-1조2000억원) 후 2년 만이다.
순이익은 줄었지만 은행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은 역대 최대였다. 은행권의 올 상반기 이자이익은 29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29조4000억원)보다 4000억원(1.4%) 늘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예대금리차 축소로 순이자마진(NIM)은 작년 상반기 1.68%에서 올 상반기 1.62%로 0.06%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가계·기업 대출 확대로 이자수익 자산이 같은 기간 3119조원에서 3248조원으로 129조원(4.1%) 늘어나면서 이자이익 확대를 이끌었다.
이자이익 증가에도 은행 실적이 뒷걸음질한 것은 홍콩 ELS 손실 배상 때문이다. 은행권은 상반기 ELS 배상을 위한 충당부채를 1조4000억원 쌓았다. 이 여파로 작년 상반기 1조원 흑자를 기록한 영업외손익이 올 상반기 적자(-1조4000억원) 전환했다.
은행권 비이자이익은 작년 상반기 3조8000억원에서 올 상반기 3조4000억원으로 4000억원(11.4%) 감소했다. 수수료 관련 비이자이익은 2조6000억원에서 2조9000억원으로 늘었지만, 외환파생 관련 비이자이익이 1조3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6000억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은행수익성 지표도 악화했다. 상반기 은행권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67%로 전년 동기 대비 0.12%포인트 하락했으며,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9.03%로 같은 기간 1.82%포인트 떨어졌다.
○인터넷은행 성장세 가팔라
시중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6조70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6조9000억원)에 비해 2000억원(3.1%) 줄었다. 지방은행의 순이익은 같은 기간 1000억원(8.5%) 늘었다. 지난 5월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옛 대구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보다 400억원 줄어들며 시중은행 실적을 끌어내렸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벵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34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1700억원)보다 두 배로 증가했다.특수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4조80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6조4000억원)보다 1조6000억원(24.5%) 감소했다. 특수은행은 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을 포함한다. 작년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 경영 정상화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부실에 대비해 쌓아 놓은 대손충당금이 환입되며 순이익이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감원은 “위기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의진/강현우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