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어는 가을이 철인데, 올해는 씨가 말랐습니다. 작년 이맘때 kg당 2만원 하던 활전어가 지금은 3만5000원입니다.”
4일 찾은 서울 노량진동의 노량진수산시장에서 만난 한 상인은 가을전어가 그야말로 ‘실종’됐다고 말했다. 10월이 제철인 가을 전어는 보통 이달 즈음부터 출하되는데, 올해는 유독 물량이 적다는 것이다. 충남 보령의 한 어민은 “체감하기에 올해 어획량이 작년의 10분의 1도 안된다”고 말했다. 가을전어 어획량이 줄어든 가장 큰 원인으로는 해수 온도 상승이 꼽힌다.
올 여름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추석 전 수산물 물가가 요동치고 있다. 바닷물이 뜨겁게 달궈지면서 적정 수온을 찾아 이동하는 전어·참조기 등 회유성 어종의 어획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가을전어가 잡히는 보령 대천항의 경우 이달 수온이 27~28℃인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3℃ 높다. 낮은 수온을 좋아하는 전어가 예년보다 덜 잡히는 이유다. 수온 상승으로 개체 수가 늘어난 해파리들이 그물을 찢으면서 조업이 더 어려워졌다는 게 산지 어민들의 전언이다. 가을전어 물량이 줄자 대형마트 판매가도 크게 올랐다. 보통 마리당 800원대에 판매됐는데, 현재1200~1300원까지 올랐다.
추석 대표 명절음식인 참조기도 고수온으로 어획량이 매년 줄어드는 상황이다. 수산관측센터에 따르면 4년 전인 2020년까지만 해도 4만1039톤이었던 참조기 생산량은 2021년 3만1563톤을 거쳐 지난해에는 1만5709톤까지 떨어졌다. 보통 참조기는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활발히 잡힌다. 올해 조업이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아니지만 올해 누적 생산량이 1766톤에 불과한 만큼 연간 생산 규모가 작년 보다 적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어획량이 줄면서 참조기의 산지가격은 올해 kg당 2만원대를 돌파했다. 작년(1만8487원)보다 27.6% 가격이 상승했다. 산지가격이 오르면 소비자가격은 더 가파르게 상승한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판매가가 지난해 대비 80% 올랐다”며 “정부가 물가 안정용으로 방출하는 물량 외에는 유통이 안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참조기 부족 사태는 명절 굴비세트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올 추석 팔리는 굴비세트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잡은 물량을 냉동보관했다가 염장·건조 과정을 거쳐 만든다. 당시 도매가격이 1년 전보다 30%정도 오르면서 올해 굴비세트 가격도 10~20%가량 비싸졌다.
수온 상승으로 집단 폐사한 양식 어종이 늘어난 것도 수산물 물가를 끌어올리는 중이다. 수온에 특히 취약한 우럭(조피볼락)이 대표적이다. 통영·거제 등 경남 4개 시군의 어가에서 1200만마리가 넘는 우럭이 폐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럭은 한대성 어종으로, 수온이 28℃를 넘어가면 숨을 쉬지 못한다. 우럭은 ‘국민횟감’이라는 별칭답게 대형마트에서 연중 판매되는 생선 중 하나다. 하지만 물량이 급격히 줄며 판매가가 작년보다 70% 올랐다. 이에 일부 주요 대형마트는 지난달 중순부터 우럭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멍게 시세도 전년 대비 40~50%가량 비싸졌다. 멍게의 제철은 3월로, 평소에는 냉동 물량을 위주로 공급되는데, 작년부터 고수온이 이어지면서 냉동물량까지 달리는 상황이다. 여기에 올 여름 양식 멍게가 대량으로 폐사하면서 멍게 부족 사태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밥상에 자주 오르는 오징어, 갈치, 고등어 등도 올 들어 가격이 20~30%정도 더 올랐다.
수산물 가격이 줄줄이 오르자 대형마트는 대체 어종을 찾거나 냉동·해외물량을 수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마트가 다음달부터 세네갈산 갈치를 들여오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서해 수온이 올라 생갈치 어획량이 줄어들자 국산 갈치와 맛이 비슷한 세네갈 갈치를 수입하기로 한 것이다. 이외에도 국산의 절반 가격인 미국산 각시가자미 물량도 확보하고 있다. 양지윤/라현진 기자 y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