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 효과와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 등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동안 집값 급등과 가계대출 증가 등으로 고심해온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 연말까지 거래 감소 속에 아파트값이 상승 곡선을 지속하기보다 안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다섯째 주(지난달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한 주 전(0.12%)보다 0.10% 올랐다. 28주 연속 상승세다. 서울 아파트값은 8월 둘째 주에 0.32% 오르며 5년1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상승세는 9월(0.23%→0.16%→0.12%→0.10%) 약해졌다. 수도권(0.09%→0.06%)과 전국(0.04%→0.02%) 상승 폭도 줄었다. 지방(-0.01%→-0.02%)은 하락세가 이어졌다. 5대 광역시(-0.02%→-0.03%)도 하락 폭이 확대됐다. 지난주 보합을 기록한 세종시와 8개 도(道) 상승률은 모두 하락 반전하며 각각 -0.06%, -0.01%를 나타냈다.
서울 25개 구 중 강남구(0.18%)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서초구(0.17%), 광진구(0.16%) 등이 뒤를 이었다. 서초구는 지난주까지만 해도 0.23%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으나 이번주엔 0.06%포인트 떨어졌다.
영끌족 유입이 많은 ‘노도강’ 지역의 상승률 둔화가 뚜렷했다. 노원구는 0.10%에서 0.07%로, 강북구는 0.10%에서 0.06%로 내렸다. 도봉구도 0.07%에서 0.02%로 떨어졌다. 금천구(0.03%)와 관악구(0.03%)는 강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서울 일부 지역에선 하락 거래도 나타나고 있다. 도봉구 도봉동 한신아파트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7일 5억78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지난달 11일 거래가(6억4700만원)와 비교하면 2주 만에 6900만원 빠졌다.
서울 전셋값은 입주 물량 부족 등으로 한 주 전과 동일하게 0.10% 올랐다. 72주째 상승 행진이다. 수도권(0.11%→0.10%)과 전국(0.05%→0.05%)도 상승 흐름이 유지됐다. 세종시는 매물 적체 현상이 지속되며 0.08% 하락해 전주(-0.02%)보다 낙폭을 키웠다. 선호도 높은 역세권 및 대단지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꾸준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돼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게 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경우 금리 인하 기대가 이미 가격에 반영됐고, 아파트값이 연말까지 안정세를 띨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당분간 시장을 주도할 변수는 대출 규제라는 얘기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정부가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 수요를 묶어놓은 측면이 있다”며 “길게는 연말까지 집값 진정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금리 인하는 부동산 가격 상승 요인이며 대출 규제는 하락 요인”이라며 “서울 핵심 지역은 금리 인하 기대가 선반영돼 가격이 오름세를 나타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출 규제가 심해지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에 숨 고르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금리 인하는 오피스텔 등 이른바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숨통이 트이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금융권의 대출 규제책이 현실화해 가격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며 “연말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거래가 줄어들고 상승세도 꺾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소현/은정진 기자 alpha@hankyung.com
○상승 폭 둔화하는 서울
3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다섯째 주(지난달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한 주 전(0.12%)보다 0.10% 올랐다. 28주 연속 상승세다. 서울 아파트값은 8월 둘째 주에 0.32% 오르며 5년1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상승세는 9월(0.23%→0.16%→0.12%→0.10%) 약해졌다. 수도권(0.09%→0.06%)과 전국(0.04%→0.02%) 상승 폭도 줄었다. 지방(-0.01%→-0.02%)은 하락세가 이어졌다. 5대 광역시(-0.02%→-0.03%)도 하락 폭이 확대됐다. 지난주 보합을 기록한 세종시와 8개 도(道) 상승률은 모두 하락 반전하며 각각 -0.06%, -0.01%를 나타냈다.
서울 25개 구 중 강남구(0.18%)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서초구(0.17%), 광진구(0.16%) 등이 뒤를 이었다. 서초구는 지난주까지만 해도 0.23%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으나 이번주엔 0.06%포인트 떨어졌다.
영끌족 유입이 많은 ‘노도강’ 지역의 상승률 둔화가 뚜렷했다. 노원구는 0.10%에서 0.07%로, 강북구는 0.10%에서 0.06%로 내렸다. 도봉구도 0.07%에서 0.02%로 떨어졌다. 금천구(0.03%)와 관악구(0.03%)는 강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서울 일부 지역에선 하락 거래도 나타나고 있다. 도봉구 도봉동 한신아파트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7일 5억78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지난달 11일 거래가(6억4700만원)와 비교하면 2주 만에 6900만원 빠졌다.
서울 전셋값은 입주 물량 부족 등으로 한 주 전과 동일하게 0.10% 올랐다. 72주째 상승 행진이다. 수도권(0.11%→0.10%)과 전국(0.05%→0.05%)도 상승 흐름이 유지됐다. 세종시는 매물 적체 현상이 지속되며 0.08% 하락해 전주(-0.02%)보다 낙폭을 키웠다. 선호도 높은 역세권 및 대단지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꾸준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돼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게 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집값 둔화는 금리 인하 ‘긍정 신호’
최근 집값 상승세 둔화는 시중은행의 대출 조이기, 단기 급등 피로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집값이 단기간 급등하자 수요자가 부담을 느껴 매수심리가 위축됐다”며 “집을 팔려는 사람과 사려는 사람 간 가격 차이가 커 거래량도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서울의 경우 금리 인하 기대가 이미 가격에 반영됐고, 아파트값이 연말까지 안정세를 띨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당분간 시장을 주도할 변수는 대출 규제라는 얘기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정부가 대출 규제 강화로 주택 수요를 묶어놓은 측면이 있다”며 “길게는 연말까지 집값 진정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금리 인하는 부동산 가격 상승 요인이며 대출 규제는 하락 요인”이라며 “서울 핵심 지역은 금리 인하 기대가 선반영돼 가격이 오름세를 나타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출 규제가 심해지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에 숨 고르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금리 인하는 오피스텔 등 이른바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숨통이 트이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금융권의 대출 규제책이 현실화해 가격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며 “연말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거래가 줄어들고 상승세도 꺾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소현/은정진 기자 alp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