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진은 세계 처음이자 유일하게 엽록체 DNA를 교정할 수 있습니다. 미국 농무부로부터 유전자변형식물(GMO) 규제를 받지 않는다는 통지도 받았죠. 상업화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기술을 활용해 세계 식량안보와 탄소 저감에 기여할 것입니다.”
툴젠 창업자이자 유전자가위 분야 세계적 석학인 김진수 그린진 최고기술책임자(CTO·사진)는 9일 “그린진이 보유한 원천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사업 영역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2022년 5월 그린진을 세운 그는 CTO를 맡아 연구개발(R&D)을 이끌고 있다.
그린진은 이런 규제 영향을 받지 않는 엽록체 DNA 교정 기술로 비유전자변형식물(non-GMO)을 개발하고 있다. 엽록체는 식물의 광합성 담당하는 세포 소기관이다. 엽록체 DNA를 교정하면 이론적으로 광합성 효율을 개선해 식물의 성장·생존력 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키운 식물이 GMO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유권해석은 이미 받았다. 지난해 12월 미 농무부는 엽록체 DNA를 교정해 만든 제초제 내성 식물이 GMO 규제 대상이 아니라고 그린진에 통지했다. 김 CTO는 “엽록체 유전자 교정 식물이 GMO 규제에서 제외된 세계 첫 사례”라며 “그린진 기술로 만든 식물은 바로 상업화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세계 1위 농업생명과학회사 바이엘(옛 몬산토)이 유전자 변형 방식으로 개발에 나섰다가 실패했다. 환경 안전성 입증 문턱을 넘지 못했다. 김 CTO는 “바이엘은 GMO 잔디를 만드는 데 7년 걸렸지만 그린진은 2년 만에 비GMO 잔디를 만들 수 있다”며 “최적화된 잔디 DNA 교정시스템 개발을 마친 뒤 잔디 엽록체에 넣어 R&D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루비스코는 환경 변화에 대한 진화가 늦다는 게 김 CTO의 설명이다. 산업혁명 후 150년간 지구 이산화탄소 농도가 40% 넘게 높아졌지만 루비스코 진화 속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이산화탄소 포집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도록 교정하면 당 생산 효율이 높아져 작물 생산량까지 늘릴 수 있다.
자연에서 루비스코의 아미노산 1개가 바뀌는 데는 720만 년이 걸린다. 그린진은 1년 만에 루비스코 아미노산 20개 이상을 바꾸는 DNA 교정에 성공했다. 이런 기술력을 토대로 그린진은 세계 농업생명공학 분야 강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유림 기자 youfores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