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방암학회는 오는 12일 제주도 그랜드조선제주에서 추계학술대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한국인 유방암의 현주소'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학회가 국가암등록사업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방암은 한국인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종이다.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2021년 기준 연간 10만명당 68.6명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유방암 발생률은 2007년까지 6.8%씩 증가하다가 이후엔 4.6%로 증가세가 둔화했다. 이대로라면 올해 유방암 신규 환자가 3만665명(여성 3만536명, 남성 129명) 발생할 것으로 학회 측은 예측했다. 국내 여성암 발생의 21.8%를 차지한다.
올해 유방암으로 인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국내 여성암 사망의 9.2%로 전체 암 중엔 4위에 해당할 것으로 학회 측은 전망했다. 인구 10만명당 5.8명이다.
2022년 기준 선진국의 유방암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미국 12.2명, 영국 14명, 일본 9.7명인 것을 고려하면 다소 낮다. 국가 건강 검진이 활성화되면서 조기 진단이 늘었고 유방암 특성에 맞는 표준 치료가 잘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학회 측은 분석했다. 국내 유방암 검진율은 2004년 33.2%에서 2023년 72.7%으로 매년 2.9% 늘었다.
연령대별 발생률을 보면 2021년 기준 40대 유방암 환자 수는 8589명으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많았다. 50대 8447명, 60대 5978명, 70대 2611명, 30대 2096명 등이 뒤를 이었다.
유방암 진단 환자 나이의 중간값은 2000년 46.9세에서 2021년에는 53.4세로 계속 높아졌다. 국내서도 인구 고령화 추세에 맞춰 폐경 후 유방암 환자 수가 늘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미국처럼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는 서구화 패턴으로 굳어질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학회 측은 설명이다.
박세호 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교수는 "이번 분석 결과 한국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50대 초반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그 이후로는 점차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면서 "이는 서구와는 다른 양상이어서 향후 한국인의 유방암 발생 양상을 좀 더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방암 진단 나이가 점차 높차 높아졌지만 40대 이하 젊은 유방암 환자는 줄지 않았다. 그 이유에 대해 학회 측은 서구화된 식생활과 음주·흡연 등 생활 습관 변화, 운동부족과 비만, 유전력 등을 꼽았다.
늦은 결혼이나 비혼 여성 증가, 출산율 저하와 수유 감소, 이른 초경과 늦은 폐경에 따라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 증가하는 데다 치밀 유방 여성도 증가하면서 폐경 이후 유방암 진단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인만을 위한 유방암 예방과 조기 검진, 진단, 치료 등을 아우르는 맞춤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는 게 학회 판단이다.
한원식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서울대병원 유방외과 교수)은 "국내 유방암 발생 건수가 계속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 등 서구 선진국에 비교하면 발생율이 70~80% 수준"이라며 "이를 감안하면 앞으로 10년 넘게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한국은 출산율이 세계에서 최하위이기 때문에 미래에 더 높은 유방암 발생 국가가 될 수도 있다"며 "철저한 검진 등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