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446년 훈민정음 반포를 기준 삼은 '한글날'

입력 2024-10-14 10:00   수정 2024-10-14 15:45


“아아 가갸날/ 참되고 어질고 아름다워요/ ‘축일(祝日)’ ‘제일(祭日)’ ‘데-’ ‘씨슨’ 이 위에/ 가갸날이 났어요. 가갸날/ … / ‘데-’보다 읽기 좋고 ‘씨슨’보다 알기 쉬워요/ … /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계집 사내도 가르쳐줄 수 있어요.” 만해 한용운은 일제강점기 때인 1926년 ‘가갸날’의 탄생 소식에 벅찬 심정으로 그 감격을 노래했다. 승려이면서 독립운동가이자 시집 <님의 침묵>으로 너무도 유명한 그가 한글 예찬론자였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조선어연구회의 ‘가갸날’이 시초
‘데-’는 데이(day), ‘씨슨’은 시즌(season)을 적은 것이다. 외래어표기법도 없던 시절이었다. ‘축일’이나 ‘제일’ 같은 한자어보다, ‘데이’나 ‘시즌’ 등 외래어보다 한글이 읽기 좋고 알기 쉽다고 말한다. 사례만 다를 뿐 무겁고 난해한 한자어와 낯선 외래어 사용이 넘쳐나는 요즘도 통하는 주장이다. 시의 마지막 행은 “온누리의 모든 사람으로 가갸날을 노래하게 해 주세요. 가갸날, 오오 가갸날이여”라고 기원하며 마무리지었다. 조금 과장하면 정보화시대 들어 꽃피운 한글 세계화를 100년 앞서 이끈, 선구자적 면모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 할 만하다.

‘가갸날’은 한글날의 처음 이름이다. 한글날의 유래는 일제강점기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3·1운동 직후인 1921년 한글학자 주시경의 제자들이 중심이 돼 조선어연구회라는 민간단체를 결성했다. 여기에 최현배, 이병기, 이윤재 등 한글학자들이 속속 참여하면서 민족운동단체로 발전했다. 이들은 당시 민족정기를 되살리고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을 기념일로 삼아 그 정신을 기리기로 했다. 그때가 1926년 11월 4일(음력 9월 29일)이다. 당시만 해도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 대중에게 익숙하지 않았기에, 한글을 처음 배울 때 읊는 ‘가갸거겨…’에서 착안해 ‘가갸날’이라고 이름을 정했다.

2년 뒤인 1928년 지금 같은 한글날로 명칭이 바뀌고, 날짜도 양력으로 10월 28일로 결정되었다. 한글날이 지금처럼 10월 9일로 된 것은 1940년에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된 덕분이다. 이 책 말미에 ‘정통 십일년 구월 상한(正統 十一年 九月 上澣)’에 책으로 펴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음력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9월 10일을 반포일로 추정하고, 이를 다시 양력으로 환산해 나온 게 10월 9일이다.
창제 3년 뒤 훈민정음이 완성되다
<훈민정음>(해례본)은 한글의 원리와 창제 취지를 기록한 책이다.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것으로, 일종의 해설서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국보이자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됐다. 훈민정음을 설명한 책이지만 한문으로 돼 있다는 점도 함께 알아둘 만하다. 간혹 훈민정음, 즉 한글이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줄 알고 있는 이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 한글이 아닌 이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이 유네스코에 등재된 것이다.

올해 ‘한글날’(10월 9일)은 제578돌을 맞았다. 세종대왕이 1443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에 이를 반포했다. ‘한글날’은 그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578주년이란 숫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글날은 창제보다 반포에 더 방점이 찍혀 있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역사에 처음 나타난 것은 <세종실록> 1443년(세종 25년) 음력 12월 자 기록에서다. “이달에 임금께서 몸소 언문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어내니 … 이것을 훈민정음이라 부른다(是月上親制諺文二十八字 … 是謂訓民正音)”라는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 북한에서는 이를 토대로 양력 날짜로 계산해 1월 15일을 훈민정음 창제일로 정해 ‘조선글날’로 기념한다.

우리나라는 창제일이 아니라 반포일을 기준으로 삼았다. 이는 당시 훈민정음이 만들어졌다는 기록만 있을 뿐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거쳐 3년 뒤인 1446년 9월(음력) 비로소 <훈민정음>(해례본)이라는 책이 완성됐고, 이를 반포로 보는 것이다. 이는 <세종실록> 1446년 (세종 28년) 음력 9월 자로 기록된 “이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됐다(是月訓民正音成)”라는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