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다음달 4일부터 유로7 기준을 충족하는 시제품 차량 조립에 들어간다. 첫 대상은 현대차의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코나’다. 내연기관 모델은 유로7에 맞춰 엔진과 엔진 배기 계통을 바꾸고, 하이브리드카 모델은 배터리 시스템 등을 변경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로7은 비(非)배기 오염물질과 배터리 내구연한을 따지는 초강력 환경 규제다.
현대차그룹은 지금을 유럽 시장 공략의 적기로 보고 공격적인 전략을 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시장 환경에 민첩 대응…2035년 유럽 100% 전동화 목표
현대차가 첫 모델로 코나를 꼽은 건 유럽에서 잘 팔리는 차종이어서다. 코나는 올해 1~9월 유럽 시장에서 6만2021대가 팔렸는데 이 중 78%인 4만8635대가 전기차(2만2789대)와 하이브리드카(2만5846대) 모델이었다. 판매량으로 보면 투싼(5만3120대)보다 적지만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투싼(56.1%)보다 훨씬 높다.
현대차그룹이 유로7 차량 개발에 나선 건 뒷걸음치고 있는 유럽 시장을 재건하기 위해서다. 현대차·기아의 1~9월 유럽 시장 판매량은 82만1925대로 전년 동기 대비 3.4% 줄었다. 같은 기간 유럽 시장 점유율(8.4%)도 0.4%포인트 내려갔다.
EU가 유로7에 비(非)배기 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처음 도입하면서 자동차업체마다 막대한 기술 투자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업계에선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유럽 완성차 업체는 150억유로(약 22조원)의 벌금을 내거나 250만 대가 넘는 차량 생산을 포기해야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로7은 배기가스 입자 수 측정을 기존 PN23(공칭압력 2.3MPa) 대신 더 작은 PN10 수준에서 측정하도록 기준을 높였다.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면서 발생하는 미세입자 등 비배기 오염물질 배출 기준도 처음 적용했다.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카·연료전지차는 타이어나 브레이크의 미세먼지(PM10)가 ㎞당 7㎎을, 순수 전기차는 3㎎을 넘어선 안 된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배터리가 담보해야 할 최소한의 내구성도 명시했다.
유럽이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45.3%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EU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을 관세를 끌어올린 이유로 들었지만, 속내는 유럽 자동차 기업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유럽 차 경쟁력이 추락한 가운데 중국 차 점유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현대차그룹엔 더할 나위 없는 기회가 온 셈이다. 현대차는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등 전 라인업에 걸쳐 유럽 맞춤형 제품을 생산해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전기차 출시 속도를 끌어올려 2035년까지 유럽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내놓기로 했다.
신정은/김재후 기자 newyear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