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불 꺼진 새 아파트’가 4년1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지방 부동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전북과 대전, 울산 등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대출 규제와 집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서울 주택 거래량은 1만 건 아래로 떨어졌다.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등 시장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만6776가구로 집계됐다. 8월(6만7550가구)에 비해 1.1%(774가구) 줄어들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방 미분양은 8월 5만4934가구에서 9월 5만2878가구로 줄었다. 수도권은 1만2616가구에서 1만3898가구로 늘어났다. 인천 미분양이 2103가구에서 3408가구로 62.1% 증가했기 때문이다.
기초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살펴보면 경남 창원(794가구→1405가구)과 경북 구미(1715가구→2106가구), 경기 이천(1217가구→1585가구), 경기 광주(6가구→468가구) 등 지방 주요 도시와 수도권 외곽에서 최근 한 달 새 미분양이 많이 늘었다. 경기 평택(3159가구→2847가구), 충남 아산(2275가구→1806가구) 등은 미분양을 다수 털어내 눈길을 끌었다.
전체 미분양이 우하향하는 것과 달리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계속 쌓이고 있다. 8월 1만6461가구에서 9월 1만7262가구로 4.9%(801가구) 증가하며 2020년 8월(1만7781가구) 후 4년1개월 만에 최대 수준으로 치솟았다. 전체 악성 미분양의 83.2%(1만4375가구)가 지방에 몰려 있다. 전남(2558가구)과 경기(1795가구), 경남(1706가구) 등에 준공 후 미분양이 많다.
8월 대비 9월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곳은 전북(195가구→402가구, 106.2%)이다. 대전(357가구→590가구, 65.3%)과 울산(679가구→1074가구, 58.2%)이 뒤를 이었다.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지방 중소도시 분양단지는 입주지원금 지급 등 ‘당근책’을 제시해도 계약자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주택 공급 선행지표로 꼽히는 인허가 실적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9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8486가구로, 전월(2만8478가구) 대비 35.1% 줄었다. 수도권은 1만6189가구에서 4924가구로 69.6% 급감했다. 9월 누적으로 살펴봐도 올해 전국 인허가 실적(21만8641가구)은 전년 동기(28만2471가구)보다 22.6% 적은 수준이다. 3~5년 후 주택 공급 부족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는 평가다.
전국 착공 물량도 8월 2만9751가구에서 9월 2만983가구로 29.5% 뒷걸음쳤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미분양은 석 달 새 감소했지만…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만6776가구로 집계됐다. 8월(6만7550가구)에 비해 1.1%(774가구) 줄어들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방 미분양은 8월 5만4934가구에서 9월 5만2878가구로 줄었다. 수도권은 1만2616가구에서 1만3898가구로 늘어났다. 인천 미분양이 2103가구에서 3408가구로 62.1% 증가했기 때문이다.
기초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살펴보면 경남 창원(794가구→1405가구)과 경북 구미(1715가구→2106가구), 경기 이천(1217가구→1585가구), 경기 광주(6가구→468가구) 등 지방 주요 도시와 수도권 외곽에서 최근 한 달 새 미분양이 많이 늘었다. 경기 평택(3159가구→2847가구), 충남 아산(2275가구→1806가구) 등은 미분양을 다수 털어내 눈길을 끌었다.
전체 미분양이 우하향하는 것과 달리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계속 쌓이고 있다. 8월 1만6461가구에서 9월 1만7262가구로 4.9%(801가구) 증가하며 2020년 8월(1만7781가구) 후 4년1개월 만에 최대 수준으로 치솟았다. 전체 악성 미분양의 83.2%(1만4375가구)가 지방에 몰려 있다. 전남(2558가구)과 경기(1795가구), 경남(1706가구) 등에 준공 후 미분양이 많다.
8월 대비 9월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곳은 전북(195가구→402가구, 106.2%)이다. 대전(357가구→590가구, 65.3%)과 울산(679가구→1074가구, 58.2%)이 뒤를 이었다.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지방 중소도시 분양단지는 입주지원금 지급 등 ‘당근책’을 제시해도 계약자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수도권 인허가 70% ‘뚝’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 등의 여파로 부동산 거래 시장은 둔화하고 있다. 9월 전국 주택 거래량은 5만1267건으로, 8월(6만648건) 대비 15.5%(9381건) 감소했다.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 곳은 대전(1525건→1565건)이 유일했다. 7월(1만2783가구)과 8월(1만992가구) 연속 1만 건을 웃돈 서울의 주택 거래량도 9월엔 8206건으로 내려앉았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8월 7609건에서 9월 4951건으로 34.9%(2658건) 감소했다.주택 공급 선행지표로 꼽히는 인허가 실적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9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8486가구로, 전월(2만8478가구) 대비 35.1% 줄었다. 수도권은 1만6189가구에서 4924가구로 69.6% 급감했다. 9월 누적으로 살펴봐도 올해 전국 인허가 실적(21만8641가구)은 전년 동기(28만2471가구)보다 22.6% 적은 수준이다. 3~5년 후 주택 공급 부족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는 평가다.
전국 착공 물량도 8월 2만9751가구에서 9월 2만983가구로 29.5% 뒷걸음쳤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