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없는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의지가 담긴 이 프로젝트의 투자금은 최첨단 반도체 공장 1기와 맞먹는 20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세액공제율은 일반 공장의 15분의 1에 불과한 1%다. ‘사업용 시설’이 아닌 만큼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공제율 15%)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정부가 판단했기 때문이다.
미국에 같은 시설을 지으면 어떨까. 삼성전자의 세금 감면액은 투자액의 25%인 5조원으로 불어난다. 산업계 관계자는 “R&D 단지에는 최첨단 반도체 사업화를 위한 장비가 투입된다”며 “미래 반도체 경쟁력을 위한 투자를 닦달하면서 R&D 시설 투자 공제율을 생산시설 투자 공제율보다 낮게 책정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지적했다.
이런 대규모 R&D 투자가 제품과 서비스로 나올 수 있도록 최전선에서 뒷받침하는 곳이 R&D 전용 단지다. 여기에 들어가는 R&D용 장비는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등의 엔지니어들이 차세대 제품 개발 과정에 활용하고 시험 생산해보는 등 사업화 가능성을 점검하는 데 주로 쓰인다.
예컨대 2~3년 뒤 1나노미터(㎚·1㎚=10억분의 1m)대 최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정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ASML의 ‘하이-NA 극자외선(EUV) 노광장비’가 가장 먼저 설치되는 곳이 R&D 전용 라인이다.
총수들도 R&D 시설을 각별히 챙기고 있다. 이재용 회장은 2022년 8월과 2023년 10월 두 번이나 NRD-K를 찾았다. 20조원 투자를 결정한 이도 그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지난 1월 올해 첫 현장 경영으로 경기 이천의 SK하이닉스 R&D센터를 방문해 인공지능(AI) 메모리 개발을 주문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R&D 단지는 미래 반도체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자산”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경쟁국은 각 기업의 R&D 시설·장비 투자에 차별 없이 대규모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 미국은 R&D용 클린룸 건설 등 제조와 관련 있는 R&D 시설 투자에 25%의 세액공제를 적용한다. 대만은 첨단 장비 투자의 세액공제율이 5%인데, R&D 장비에도 똑같은 혜택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는 R&D 시설투자 공제 제도가 없지만, 정부가 자국에 투자한 국내외 반도체기업에 직접 보조금을 준다.
이런 점에서 R&D 시설·장비 세액공제율을 현재 1%에서 15% 수준까지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경제단체 관계자는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및 신성장 사업화 세액공제에 적용되는 시설 범위에 R&D 설비와 장비를 포함해 공제율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정부와 국회에 이런 방안을 다시 건의하기로 했다.
황정수/김채연 기자 hj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