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주택 착공 물량이 줄면서 내년부터는 수도권을 시작으로 주택 공급 감소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의 '현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정책 평가와 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공급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19년간 전국 주택(아파트와 비아파트 포함) 시장에는 연평균 42만9000가구가 준공됐다. 특히 2019년은 부동산 시장 활황 등에 힘입어 준공 물량이 51만8000가구에 달했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준공 물량도 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문제는 2022년부터 착공 실적이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해는 30만가구를 밑돌았다는 점이다. 올해 1∼8월의 경우 착공실적은 작년 동기 대비로는 36.6% 증가했지만 2005∼2023년 평균치와 비교하면 40.5% 줄었다.
이같은 착공 감소는 준공 감소로 이어지는데, 통상 착공부터 준공까지 수도권 아파트는 2∼3년, 지방 아파트는 3년 정도의 시차가 있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의 경우 올해까지는 준공 물량이 연평균(15만6000가구)을 웃돌겠지만 내년부터는 이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내년 기준으로 3년 전인 2022년 착공 물량이 14만가구에 그쳤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도 착공 물량이 10만가구에 그쳐 준공 물량 감소세가 내년 이후에도 지속될 공산이 크다,
이에 따라 정부의 대출 축소 기류 등의 여파로 '찬바람'이 불고 있는 부동산 시장이 내년 이후 약간의 자극만으로도 분위기가 확 바뀔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지금도 강남권을 비롯해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수도권 인기 지역의 경우 막상 현장에 가보면 신축 등 인기 물건의 경우 쓸만한 매물을 찾아보기 힘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서울 같은 경우 공급도 부족하고, 수요가 많은 만큼 하방을 지지하는 요인이 많다"며 "다만 대출 규제로 인해 주택 수요가 줄었고, 내년으로 이사를 미루는 시기가 도래하면서 가격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송종현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