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윤석열 괴뢰의 탄핵을 요구하는 항의의 목소리가 연일 고조되고 있으며, 정치적 혼란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각지에서 윤석열 탄핵안 추진, 내란 범죄자 처벌 등을 요구하여 촛불 투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며 국회 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집회 소식을 전했다. 지난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상설특검 수사 요구안이 통과된 것과 윤석열 대통령이 피의자로 입건돼 출국 금지된 사실도 보도했다.
11일 계엄 사태 8일 만에 첫 보도를 내놓은 북한 매체들이 이틀째 대대적으로 소식을 전한 것이다. 기사는 북한 주민이 보는 노동신문과 대외용 조선중앙통신에 모두 실렸다. 집회 현장 사진은 11일 보도에 게재됐지만,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을 시민들이 막는 모습은 보도하지 않았다. 이는 혼란스러운 한국과 단결된 자신들의 모습을 비교해 북한이 체제 우월성을 강조하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해부터 한국 내 시위 동향을 꾸준히 보도해왔는데, 계엄 선포 이후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다가 재개해도 되겠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은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등 정권 당국자 명의의 담화는 내지 않고 있다. 적대적 2국가론에 따른 ‘무관심 전략’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한국이 자중지란이어서 개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수 있다”며 “다만 물밑에서 한국의 분열을 위한 대남 심리전은 계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사브리나 싱 미국 국방부 부대변인은 11일(현지시간) 한국의 탄핵 정국과 관련해 “어떤 행위자도 이를 악용하길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북한을 향해 탄핵을 빌미로 도발에 나서지 말라고 경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미국 하원은 주한미군을 현 수준인 2만8500명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국방수권법안을 통과시켰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