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심분리기 갑작스런 이상 가동, 알고 보니…

입력 2013-02-05 14:48  

지난 2008년 이란의 나탄즈(Natanz)에 위치한 우라늄 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가 이상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해야 하는 원심분리기가 제멋대로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이란 당국은 조사에 착수했으나 원인을 찾지 못했고, 원심분리기 5,000개 가운데 약 1,000개가 일시적으로 사용불능상태에 되면서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다.

이에 따라 이란 정부가 추진하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은 약 18개월에서 2년 정도 지연되는 차질을 빚게 됐다.

이란의 원심분리기 사용불능 사태의 원인은 2010년에야 밝혀지게 된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합동으로 이란의 핵시설을 겨냥해 실시한 사이버 공격 때문이었던 것이다.

암호명 올림픽게임즈(Olympic games)로 명명된 이 작전은 2006년부터 시작됐다.

미국 국가안전보장국과 이스라엘 군의 기술자들은 먼저 이란 나탄즈의 우라늄 농축시설의 설계도를 훔쳐내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뒤 원심분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이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원심분리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없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만들어 나탄즈 시설에 침입시켰다.

'스턱스넷(Stuxnet)'이라는 이 바이러스의 존재는 2010년 밝혀졌고 이 바이러스가 핵시설 이외로 확산되면서 백악관 작전상황실은 한 때 '공격 중지' 여부를 검토했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최종적으로 계속 공격을 명령한 것으로 최근 드러났다.

미국과 이스라엘의 합동 작전이었던 '스턱스넷(Stuxnet)' 공격으로 인해 사이버 무기 사용에 대한 국제적 '금기'가 깨진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 언론사, 기업 등에 대한 사이버 테러는 갈수록 빈발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공격 빈도 뿐 아니라 피해 정도도 커지고 있고, 관련 기술 역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2012년 5월 발견된 플레임(Flame)은 소리, 화면, 키보드 동작, 네트워크 활동을 탐지하는 것 뿐 아니라 나아가 블루투스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경우 그 주변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의 활동과 데이터까지도 탐지하는 종합적인 첩보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투입은 이란에 대한 미국과 이스라엘의 합동작전으로 알려져 있다.

또 2012년 8월에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와 카타르의 라스가스(RasGas)에 대한 바이러스 공격이 발생하여 수만 대 컴퓨터의 데이터가 파기됐는데, 이는 이란이나 이란의 비호를 받는 세력의 샤문(Shamoon) 바이러스 공격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 역시 잇따른 사이버 테러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월스트리트저널(WSJ)·워싱턴포스트(WP)·블룸버그 통신 등 미국 유력 언론사들이 사이버 공격을 받은데 이어 정부 부처인 에너지부도 지난달 중순 해커들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4일(현지시간) 밝혀졌다.

AFP 통신에 따르면 에너지부는 직원들에 배포한 메모에서 에너지부 전산망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사이버테러와 관련해 미국 측이 지목하고 있는 용의자는 이란과 중국이다.

NYT·WSJ·WP·블룸버그 등 피해 당사자들은 사이버 공격의 진원지로 일제히 중국을 지목했다. 이들 언론이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중국 최고위층 일가의 축재 관련 기사를 실었다가 공격을 받았다는 점도 이러한 추측에 힘을 실어준다.

이란도 용의선상에 오르내린다. 패네타 장관은 지난해 10월 “워싱턴DC가 하루에도 수십만 번의 사이버공격을 당한다”며 "이제 그들은 우리의 전력망과 금융시스템, 정부시스템을 공격해 나라 전체를 실제로 마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고 이란을 겨냥했다.

물론 중국 등은 이러한 혐의를 적극 부인하면서 미국과 대립하고 있다.

사이버테러 피해 범위가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자 미국이 대응 속도를 높이고 있다.

NYT에 따르면 미 정부는 현재 마련 중인 최초의 사이버전(戰) 관련 수칙에서 대통령에게 사이버 선제공격 명령권을 부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당국은 비공개 법률 검토를 통해 국외로부터 중대한 사이버 공격 조짐이 감지되면 대통령이 사이버상의 선제공격을 명령할 권한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고 NYT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WP도 미 국방부가 산하 사이버사령부 규모를 현재의 5배 이상으로 확대하고 방어는 물론 적극적인 공격 전력(戰力)까지 포함하는 본격 사이버군(軍)으로 육성하기로 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우리 정부도 새로운 위협과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제도와 조직을 시급히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제주평화연구원 한인택 연구위원은 “최근의 국제화와 정보화의 진전은 경계선의 의미를 퇴색시켰고, 사이버 공격이 물리적 타격 못지 않게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며 "새로운 안보 개념은 이러한 경계의 약화나 비물리적 위협의 등장을 반영하여야 한다."고 말했다.

sunkim@cbs.co.kr
[CBS 김선경 선임기자]

[네티즌 많이 본 기사]

● '승용차 구입' 10대 중 2대 'SUV 선택'…왜?
● 김태형 "세 아들 살해 아내와 이혼…신앙의 힘으로 이겨내"
● 인수위 "로켓기술, 마음만 먹으면 3년내 北 추월"
● APT관리비 이체도 중단…카드 수수료 '후폭풍'
● 들썩이는 국정원…인사잡음에 간부들 '줄대기 동분서주'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마트 뉴스앱의 최강자! 노컷뉴스 APP 다운로드 받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