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 가능성 크지 않다"…과도한 대응 자제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행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한국 금융당국도 '후폭풍'의 위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정부 당국은 인도와 인도네시아, 브라질, 태국 등이 겪는 금융시장 혼란이한국까지 곧바로 전염될 가능성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은 21일 신흥국 통화가치와증시 급락으로 한국 금융시장에도 영향이 있는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기재부와 금융위, 한은, 국제금융센터 등은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시장점검 내용을 실시간으로 교류하고 있다. 거시경제금융회의도 수시로 열어 글로벌 자금흐름과 외화유동성 등 상황 인식과 대응 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금융위와 금감원도 신흥국 금융시장이 출렁이자 국내 금융시장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사의 외화 차입 동향 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행에 따른 위기대응능력평가(스트레스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위험 요인을 막을 방침이다.
다만 당국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에서 자금이 이탈되는 것이 이미 예견했던 현상인데다 현재까지 한국 금융시장이 받은 영향도 제한적이어서 과도한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기재부는 전날 '최근 아시아 금융·외환시장 동향과 한국경제 영향' 보고서에서 "한국은 여타 아시아 신흥국에 비해 환율, 주가,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 외국인 자금 유출입 측면에서 안정적인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신흥국 시장이 흔들리는 동안 한국 증시로는 외국인 자금이대거 유입됐고 외환시장도 상대적으로 안정된 움직임을 보였다"며 "경상수지 등 펀더멘털 상으로 한국은 이들 신흥국과 차별화된 만큼 정부가 가시적으로 나설 상황은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우리나라는 견조한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증권투자가 순유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정도를 신흥국과 비교해보면 아직 당국이 적극 나설 상황은 아니라는 견해가 힘을 얻는다.
신흥국에서는 주가와 통화가치가 동반 급락하고 채권도 가치가 떨어져 금리가오르는 '트리플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급등해 각각 2011년 2월과 2008년 7월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들 국가의 주요 주가지수도 19∼20일 폭락 이후 조정으로 21일 개장 이후 소폭 반등했으나 낙폭을 모두 되돌리지는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 남아공 란드화는 달러화에 대한 가치가 19.5%, 브라질 헤알화는 16.7% 급락했고 인도 루피화는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코스피는 아시아 신흥국 금융위기 우려감을 떨치지 못하고 21일 1,870선을 내줬지만 이런 영향은 단기적일 것이라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특히 미국의 밴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에대해 언급하며 금융시장에 직격탄을 날렸던 6월에는 코스피가 1,780선까지 밀린 점을 고려하면 하락폭이 크지는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고채 3년물의 금리 또한 21일 연 2.97%, 5년물 금리는 연 3.31%로 전날보다각각 0.03%포인트 상승했지만 역시 6월보다 상승폭이 크지 않다.
아시아 통화가 동반 약세를 보였지만 원·달러 환율은 21일 오히려 3.4원 하락했다.
이달 1일부터 21일까지 하루 평균 원·달러 환율변동폭 또한 4.66원으로 환율움직임 또한 6월(7.05원)이나 7월(6.00원)보다 안정적이다.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는 "최근 양적완화 중단 추세에 따른 움직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현재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하지는 않기 때문에 걱정할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도 "인도나 인도네시아 등 국가는 한국과 실물이나 금융 등 측면에서 연계가 약해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이 작다"고 말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행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한국 금융당국도 '후폭풍'의 위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정부 당국은 인도와 인도네시아, 브라질, 태국 등이 겪는 금융시장 혼란이한국까지 곧바로 전염될 가능성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은 21일 신흥국 통화가치와증시 급락으로 한국 금융시장에도 영향이 있는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기재부와 금융위, 한은, 국제금융센터 등은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시장점검 내용을 실시간으로 교류하고 있다. 거시경제금융회의도 수시로 열어 글로벌 자금흐름과 외화유동성 등 상황 인식과 대응 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금융위와 금감원도 신흥국 금융시장이 출렁이자 국내 금융시장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사의 외화 차입 동향 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행에 따른 위기대응능력평가(스트레스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위험 요인을 막을 방침이다.
다만 당국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에서 자금이 이탈되는 것이 이미 예견했던 현상인데다 현재까지 한국 금융시장이 받은 영향도 제한적이어서 과도한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기재부는 전날 '최근 아시아 금융·외환시장 동향과 한국경제 영향' 보고서에서 "한국은 여타 아시아 신흥국에 비해 환율, 주가,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 외국인 자금 유출입 측면에서 안정적인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신흥국 시장이 흔들리는 동안 한국 증시로는 외국인 자금이대거 유입됐고 외환시장도 상대적으로 안정된 움직임을 보였다"며 "경상수지 등 펀더멘털 상으로 한국은 이들 신흥국과 차별화된 만큼 정부가 가시적으로 나설 상황은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우리나라는 견조한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증권투자가 순유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정도를 신흥국과 비교해보면 아직 당국이 적극 나설 상황은 아니라는 견해가 힘을 얻는다.
신흥국에서는 주가와 통화가치가 동반 급락하고 채권도 가치가 떨어져 금리가오르는 '트리플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급등해 각각 2011년 2월과 2008년 7월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들 국가의 주요 주가지수도 19∼20일 폭락 이후 조정으로 21일 개장 이후 소폭 반등했으나 낙폭을 모두 되돌리지는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 남아공 란드화는 달러화에 대한 가치가 19.5%, 브라질 헤알화는 16.7% 급락했고 인도 루피화는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코스피는 아시아 신흥국 금융위기 우려감을 떨치지 못하고 21일 1,870선을 내줬지만 이런 영향은 단기적일 것이라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특히 미국의 밴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에대해 언급하며 금융시장에 직격탄을 날렸던 6월에는 코스피가 1,780선까지 밀린 점을 고려하면 하락폭이 크지는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고채 3년물의 금리 또한 21일 연 2.97%, 5년물 금리는 연 3.31%로 전날보다각각 0.03%포인트 상승했지만 역시 6월보다 상승폭이 크지 않다.
아시아 통화가 동반 약세를 보였지만 원·달러 환율은 21일 오히려 3.4원 하락했다.
이달 1일부터 21일까지 하루 평균 원·달러 환율변동폭 또한 4.66원으로 환율움직임 또한 6월(7.05원)이나 7월(6.00원)보다 안정적이다.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는 "최근 양적완화 중단 추세에 따른 움직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현재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하지는 않기 때문에 걱정할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은 관계자도 "인도나 인도네시아 등 국가는 한국과 실물이나 금융 등 측면에서 연계가 약해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이 작다"고 말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