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제조업체 가동률 금융위기 때보다 저조두산인프라코어 가동률 22% 넘게 급격히 감소
세계적인 경기 부진의 여파로 국내 대형 제조업체들의 공장 가동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국이 지속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제조업 부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한국의 제조업 활력은 급속도로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통계청, 재벌닷컴 등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30개 제조업체의 올해 상반기 가동률(국내소재 공장 기준)은 평균 91.29%로 작년상반기 93.03%보다 1.74%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경기가 급랭한 2009년 연간 가동률 91.45%보다 낮은 수치다.
30대 제조업체 가동률은 2008년에는 92.77%였으며 2010년 93.66%까지 회복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하락해 2011년 92.49%, 작년 92.97%였고 올해 상반기 91%대로 떨어졌다.
가동률은 생산능력 대비 실생산량 혹은 가동 가능시간 대비 실가동시간을 나타낸다. 내수 및 수출 주문량 감소가 주요 하락 원인으로 꼽히며 근로자 파업, 설비점검, 휴무일, 천재지변 등도 변수로 작용한다.
조사대상 30개 업체 가운데 작년보다 가동률이 상승한 곳은 10곳에 불과했다.
금융위기 이후 고성장한 자동차, 화학, 정유 등 '차·화·정'을 비롯해 기계, 철강 업체들의 가동률 하락이 두드러졌다.
업체별로는 두산인프라코어[042670]의 국내 공장 가동률이 작년 상반기 90.6%에서 올해 68.55%로 22.1%포인트 급감했다.
두산중공업[034020]은 96.0%에서 80.3%로 15.7%포인트 하락했다.
현대차[005380]와 기아차[000270]는 엔화 약세와 파업 등의 영향으로 가동률이급락했다.
현대차 국내 공장 가동률은 104.8%에서 97.8%로 떨어졌고 기아차는 109.8%에서106.8%로 하락했다.
현대오일뱅크(-12.8%포인트), GS칼텍스(-6.2%포인트), S-Oil[010950](-3.3%포인트) 등 정유업체의 가동률 하락폭도 컸다.
SK종합화학(-3.3%포인트)과 한화[000880](-2.0%포인트) 등 화학 업체들도 매출감소로 가동률이 낮아졌다.
자동차, 건설 등 연관 산업 침체로 철강 업체들의 가동률도 곤두박질 쳤다.
포스코[005490]의 가동률(조강 기준)은 6.7%포인트 떨어졌고 현대제철[004020]도 9.8%포인트 내렸다.
반면에 IT(정보통신) 관련 업체들의 가동률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매출이 급증한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의 가동률이 각각 2.4%포인트, 9.1%포인트 올랐다.
조선업계 '빅3'도 매출 증가와 함께 가동률이 상승했다.
대우조선해양[042660]은 가동률이 113.8%로 21.2%포인트 뛰어 조사대상 제조업체 중 상승폭이 가장 컸다. 현대중공업[009540]과 삼성중공업[010140]도 가동률이각각 9.9%포인트, 1.2%포인트 높아졌다.
전체 제조업 가동률도 하락세다.
제조업 가동률은 올해 1월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으나 이후 계속 저조했다.
2월 12.8% 감소한 데 이어 6월 5.2% 감소까지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작년에도 2월을 제외하고는 매월 마이너스로 제조업 부진 장기화를보여준다.
가동률 하락은 세계적인 경기 둔화와 내수 침체의 결과다. 최근 세계 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음에도 국내 제조업 경기는 기대만큼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라는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부진으로 수요가 줄어 가동률이 떨어지고 경제활력이 저하되는 것"이라며 "선진국이 자국 생산을 늘리면서 세계 교역량이늘지 않는데다 중국 경기 둔화와 신흥국 금융불안까지 겹쳐 수출 중심의 한국 제조업의 회복이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doubl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세계적인 경기 부진의 여파로 국내 대형 제조업체들의 공장 가동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국이 지속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제조업 부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한국의 제조업 활력은 급속도로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통계청, 재벌닷컴 등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30개 제조업체의 올해 상반기 가동률(국내소재 공장 기준)은 평균 91.29%로 작년상반기 93.03%보다 1.74%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경기가 급랭한 2009년 연간 가동률 91.45%보다 낮은 수치다.
30대 제조업체 가동률은 2008년에는 92.77%였으며 2010년 93.66%까지 회복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하락해 2011년 92.49%, 작년 92.97%였고 올해 상반기 91%대로 떨어졌다.
가동률은 생산능력 대비 실생산량 혹은 가동 가능시간 대비 실가동시간을 나타낸다. 내수 및 수출 주문량 감소가 주요 하락 원인으로 꼽히며 근로자 파업, 설비점검, 휴무일, 천재지변 등도 변수로 작용한다.
조사대상 30개 업체 가운데 작년보다 가동률이 상승한 곳은 10곳에 불과했다.
금융위기 이후 고성장한 자동차, 화학, 정유 등 '차·화·정'을 비롯해 기계, 철강 업체들의 가동률 하락이 두드러졌다.
업체별로는 두산인프라코어[042670]의 국내 공장 가동률이 작년 상반기 90.6%에서 올해 68.55%로 22.1%포인트 급감했다.
두산중공업[034020]은 96.0%에서 80.3%로 15.7%포인트 하락했다.
현대차[005380]와 기아차[000270]는 엔화 약세와 파업 등의 영향으로 가동률이급락했다.
현대차 국내 공장 가동률은 104.8%에서 97.8%로 떨어졌고 기아차는 109.8%에서106.8%로 하락했다.
현대오일뱅크(-12.8%포인트), GS칼텍스(-6.2%포인트), S-Oil[010950](-3.3%포인트) 등 정유업체의 가동률 하락폭도 컸다.
SK종합화학(-3.3%포인트)과 한화[000880](-2.0%포인트) 등 화학 업체들도 매출감소로 가동률이 낮아졌다.
자동차, 건설 등 연관 산업 침체로 철강 업체들의 가동률도 곤두박질 쳤다.
포스코[005490]의 가동률(조강 기준)은 6.7%포인트 떨어졌고 현대제철[004020]도 9.8%포인트 내렸다.
반면에 IT(정보통신) 관련 업체들의 가동률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매출이 급증한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의 가동률이 각각 2.4%포인트, 9.1%포인트 올랐다.
조선업계 '빅3'도 매출 증가와 함께 가동률이 상승했다.
대우조선해양[042660]은 가동률이 113.8%로 21.2%포인트 뛰어 조사대상 제조업체 중 상승폭이 가장 컸다. 현대중공업[009540]과 삼성중공업[010140]도 가동률이각각 9.9%포인트, 1.2%포인트 높아졌다.
전체 제조업 가동률도 하락세다.
제조업 가동률은 올해 1월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으나 이후 계속 저조했다.
2월 12.8% 감소한 데 이어 6월 5.2% 감소까지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작년에도 2월을 제외하고는 매월 마이너스로 제조업 부진 장기화를보여준다.
가동률 하락은 세계적인 경기 둔화와 내수 침체의 결과다. 최근 세계 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음에도 국내 제조업 경기는 기대만큼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라는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부진으로 수요가 줄어 가동률이 떨어지고 경제활력이 저하되는 것"이라며 "선진국이 자국 생산을 늘리면서 세계 교역량이늘지 않는데다 중국 경기 둔화와 신흥국 금융불안까지 겹쳐 수출 중심의 한국 제조업의 회복이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doubl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