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가 3월 14일 오전 개최해 사실상 주총일 '담합'전자투표 이용률도 Ɔ'…"권고에서 의무화로 바꿔야"
10대 재벌 계열사 대다수가 올해도 한날한시에정기 주주총회를 한다.
세계 일류라고 자부하는 기업들이 주총일을 사실상 담합해 소액주주들의 의결권을 무력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높아지는 이유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정기 주주총회일을 공시한 10대 그룹소속 12월 결산 상장사 35개 중 31개사(88.6%)가 3월 14일 오전에 주총을 연다.
특히 삼성전자[005930]를 필두로 한 삼성그룹 계열사 12곳은 이날 오전 9시 동시에 주주총회를 한다.
한날한시에 열리는 만큼 두 곳 이상의 삼성 계열사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주총에 참여하려면 한 곳만 선택해야 한다.
현대차[005380]와 LG[003550], GS[078930] 등 다른 그룹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012330], 현대글로비스[086280], 현대위아[011210], 현대제철[004020], 현대비앤지스틸[004560] 등 7개사가 3월 14일 오전 9시에 주주총회를 하며, 현대하이스코[010520] 주총일만 같은 달 21일로 다르게 잡혔다.
LG그룹 역시 3월 14일이 '주총 데이'다.
LG상사[001120], LG생명과학[068870], LG생활건강[051900], LG유플러스[032640], LG하우시스[108670], LG화학[051910], 지투알 등 7개사가 이날 오전 정기 주주총회를 연다. LG디스플레이[034220]만 같은 달 7일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GS그룹은 3월 14일(GS홈쇼핑, 코스모신소재)과 3월 21일(GS, GS건설[006360], GS글로벌[001250], 코스모화학)에 주총이 몰려 있었다.
SK그룹은 16개 계열사 중 SK텔레콤[017670](3월 21일)만 주총일을 공시했다.
롯데와 현대중공업[009540], 한진[002320], 한화[000880], 두산[000150] 등 5개그룹은 아직 계열사 정기 주총일을 공시하지 않았지만 예년 사례에 비춰보면 올해도거의 한날 주총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재벌 그룹들이 이렇게 '몰아치기' 주총을 관행화하고 있는 것은 결국 소액주주참여를 제한하려는 것이란 지적이다.
예컨대 삼성전자의 경우 1998년 주총에서 참여연대의 전신인 경제개혁연대가 부당내부거래 등을 문제 삼으면서 13시간 넘게 마라톤 주총이 빚어졌고, 1999년과 2001년에는 주총장에서 시민단체와 직원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전자투표제 등이 마련됐지만 이를 이용하는 기업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도 문제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올해는 전자투표 이용업체가 아직 한 곳도 없다"면서 "좋은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전자투표의 필요성을 기업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의지도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기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부장은 "전자투표를 활성화해 소액주주권을 보호하자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현행법상 권유사항일뿐 의무가 아닌 탓"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자가 겹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면 인터넷으로도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소액주주 보호 차원에서 최소한 상장사라도 전자투표 도입을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업계 역시 불만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소액주주뿐 아니라 펀드매니저 등 기관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수 있는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 여부를 고민해야 하는데 몰아치기 주총은 그럴 여력을 빼앗아 정당한 주권 행사를 원천봉쇄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사 보수한도 안건 내용을 공개한 10대 그룹 계열사 18개 중 보수한도를높인 곳은 호텔신라[008770] 한 곳이었다. 호텔신라는 이번 정기총회에 이부진 대표이사의 재선임 안건도 상정한다.
주총일을 공시한 35개사에서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된 인사는 18명이며 학계 출신이 7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전직 차관이나 법조계, 금융감독원 등 이른바 '권력'출신도 6명이나 됐다.
눈에 띄는 인사들은 권태균 전 조달청장(삼성전기), 이재훈 전 지경부 2차관(SK텔레콤), 김정관 전 지경부 2차관(LG상사), 표인수 전 통상산업부 아주통상1과장(LG생활건강), 김경종 전 서울북부지법원장(GS글로벌), 양성용 전 금감원 부원장보(삼성카드) 등이다.
hwang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0대 재벌 계열사 대다수가 올해도 한날한시에정기 주주총회를 한다.
세계 일류라고 자부하는 기업들이 주총일을 사실상 담합해 소액주주들의 의결권을 무력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높아지는 이유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정기 주주총회일을 공시한 10대 그룹소속 12월 결산 상장사 35개 중 31개사(88.6%)가 3월 14일 오전에 주총을 연다.
특히 삼성전자[005930]를 필두로 한 삼성그룹 계열사 12곳은 이날 오전 9시 동시에 주주총회를 한다.
한날한시에 열리는 만큼 두 곳 이상의 삼성 계열사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주총에 참여하려면 한 곳만 선택해야 한다.
현대차[005380]와 LG[003550], GS[078930] 등 다른 그룹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012330], 현대글로비스[086280], 현대위아[011210], 현대제철[004020], 현대비앤지스틸[004560] 등 7개사가 3월 14일 오전 9시에 주주총회를 하며, 현대하이스코[010520] 주총일만 같은 달 21일로 다르게 잡혔다.
LG그룹 역시 3월 14일이 '주총 데이'다.
LG상사[001120], LG생명과학[068870], LG생활건강[051900], LG유플러스[032640], LG하우시스[108670], LG화학[051910], 지투알 등 7개사가 이날 오전 정기 주주총회를 연다. LG디스플레이[034220]만 같은 달 7일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GS그룹은 3월 14일(GS홈쇼핑, 코스모신소재)과 3월 21일(GS, GS건설[006360], GS글로벌[001250], 코스모화학)에 주총이 몰려 있었다.
SK그룹은 16개 계열사 중 SK텔레콤[017670](3월 21일)만 주총일을 공시했다.
롯데와 현대중공업[009540], 한진[002320], 한화[000880], 두산[000150] 등 5개그룹은 아직 계열사 정기 주총일을 공시하지 않았지만 예년 사례에 비춰보면 올해도거의 한날 주총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재벌 그룹들이 이렇게 '몰아치기' 주총을 관행화하고 있는 것은 결국 소액주주참여를 제한하려는 것이란 지적이다.
예컨대 삼성전자의 경우 1998년 주총에서 참여연대의 전신인 경제개혁연대가 부당내부거래 등을 문제 삼으면서 13시간 넘게 마라톤 주총이 빚어졌고, 1999년과 2001년에는 주총장에서 시민단체와 직원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전자투표제 등이 마련됐지만 이를 이용하는 기업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도 문제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올해는 전자투표 이용업체가 아직 한 곳도 없다"면서 "좋은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전자투표의 필요성을 기업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의지도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기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 부장은 "전자투표를 활성화해 소액주주권을 보호하자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현행법상 권유사항일뿐 의무가 아닌 탓"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자가 겹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면 인터넷으로도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소액주주 보호 차원에서 최소한 상장사라도 전자투표 도입을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업계 역시 불만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소액주주뿐 아니라 펀드매니저 등 기관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수 있는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 여부를 고민해야 하는데 몰아치기 주총은 그럴 여력을 빼앗아 정당한 주권 행사를 원천봉쇄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사 보수한도 안건 내용을 공개한 10대 그룹 계열사 18개 중 보수한도를높인 곳은 호텔신라[008770] 한 곳이었다. 호텔신라는 이번 정기총회에 이부진 대표이사의 재선임 안건도 상정한다.
주총일을 공시한 35개사에서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된 인사는 18명이며 학계 출신이 7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전직 차관이나 법조계, 금융감독원 등 이른바 '권력'출신도 6명이나 됐다.
눈에 띄는 인사들은 권태균 전 조달청장(삼성전기), 이재훈 전 지경부 2차관(SK텔레콤), 김정관 전 지경부 2차관(LG상사), 표인수 전 통상산업부 아주통상1과장(LG생활건강), 김경종 전 서울북부지법원장(GS글로벌), 양성용 전 금감원 부원장보(삼성카드) 등이다.
hwang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