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포화 등의 위기에 직면한 한국 자산운용사들은 차별화된 상품 개발과 해외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자산운용 전문 컨설팅사인 케이시 쿼크사의 다니엘 셀레긴 파트너는 3일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한국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열린 '자산운용사 비즈니스 전략조찬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셀레긴 파트너는 "한국 자산운용사는 해외 운용사와의 경쟁, 수수료 절감 압박,시장의 부족 등 많은 도전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다"며 "많은 회사가 변화하는 투자자와 시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저조한 실적을 기록 중"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앞서 케이시 쿼크사가 한국 자산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결과, 응답자들의 95% 이상이 가장 큰 과제로 '수익성 부족'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산운용사들은 수익성을 높이려면 국내 시장 판매 채널에 대한 투자 확대와상품 개발, 비용 절감 등이 시급하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셀레긴 파트너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과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상품을 어떻게 차별할 수 있을 것인지, 어떻게 더 많은 상품을 고객에게제시할 수 있을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매력적이지 않은 금융 상품은 운용사를낮은 실적으로 이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 운용사는 전반적인 투자 절차와 운영 모델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수요가 높은 글로벌·대체·멀티에셋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투자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일본 시장을 사례로 들며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운용업계가 저성장 국면을 맞아 보수적인 자산 운용을 고수하는 동안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글로벌·대체 자산 영역은 이미 해외 투자사로 넘어가 버렸다는 것이다.
셀레긴 파트너는 또한 한국 운용사들이 해외 자산과 시장으로도 눈을 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국내 시장의 리더를 꿈꿀 수 있지만,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전문가가 되거나 글로벌 운용사로 다양한 전략을 취하는 방안도 고려해 봐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헤지펀드나 채권 등에 대한 해외 시장의 수요가 높을 수 있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sj997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미국 자산운용 전문 컨설팅사인 케이시 쿼크사의 다니엘 셀레긴 파트너는 3일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한국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열린 '자산운용사 비즈니스 전략조찬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셀레긴 파트너는 "한국 자산운용사는 해외 운용사와의 경쟁, 수수료 절감 압박,시장의 부족 등 많은 도전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다"며 "많은 회사가 변화하는 투자자와 시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저조한 실적을 기록 중"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앞서 케이시 쿼크사가 한국 자산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결과, 응답자들의 95% 이상이 가장 큰 과제로 '수익성 부족'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산운용사들은 수익성을 높이려면 국내 시장 판매 채널에 대한 투자 확대와상품 개발, 비용 절감 등이 시급하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셀레긴 파트너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과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상품을 어떻게 차별할 수 있을 것인지, 어떻게 더 많은 상품을 고객에게제시할 수 있을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매력적이지 않은 금융 상품은 운용사를낮은 실적으로 이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 운용사는 전반적인 투자 절차와 운영 모델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수요가 높은 글로벌·대체·멀티에셋 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투자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일본 시장을 사례로 들며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운용업계가 저성장 국면을 맞아 보수적인 자산 운용을 고수하는 동안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글로벌·대체 자산 영역은 이미 해외 투자사로 넘어가 버렸다는 것이다.
셀레긴 파트너는 또한 한국 운용사들이 해외 자산과 시장으로도 눈을 돌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국내 시장의 리더를 꿈꿀 수 있지만,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전문가가 되거나 글로벌 운용사로 다양한 전략을 취하는 방안도 고려해 봐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판매되는 헤지펀드나 채권 등에 대한 해외 시장의 수요가 높을 수 있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sj997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