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원자력연료가 핵연료 공장 증설을 추진 중인 가운데 공장 예정지 인근 주민들이 반대 집회를 여는 등 집단행동에 나선다.
'핵연료 공장증설 반대 전민·관평·구즉·신성동 주민 모임'은 27일 유성구 관평동 네거리에서 핵연료봉 공장 증설 반대 서명운동과 선전전을 벌인다고 26일 밝혔다.
주민 모임은 "유성에는 이미 고리 원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핵폐기물이 저장돼 있고 그 때문에 크고 작은 사고가 빈발했다"면서 "도심 한복판에 핵연료 시설을 증설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실제 한전원자력연료가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에서는 방사능 관련 사고가잇따르고 있다.
가장 최근인 2011년 2월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 연구시설에서 방사선 준위가기준치를 초과하면서 백색비상이 발령됐다.
다행히 원자력연 경계지점에서의 방사선 준위는 정상치로 나타났으나 하나로 가동이 20여일 동안 중단되는 등 소동을 빚었다.
앞서 2007년 8월 6일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준비과정에서 양자광학연구센터에 보관 중이던 IAEA 특별사찰 대상물질인 농축 우라늄 0.2g 등이 든 시료상자를 분실한 것으로 드러나 국제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
2006년 11월에는 원자력연구원과 용역업체 직원이 하나로 원자로 부근에서 작업중 방사능이 높은 시설물을 물 밖으로 끄집어내는 바람에 5분가량 방사선에 피폭됐으며, 이보다 한 달 전에는 하나로 부속시설에서 불이 나 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이외부로 유출됐다.
또 2005년 5월에도 원자력연에서 누출된 것이 거의 확실한 극미량의 방사성 요오드가 충남대 등지에서 검출됐고 2004년 4∼5월에는 하나로에서 중수가 누출된 적도 있다.
주민 모임은 "한전원자력연료는 핵연료 전용 도로를 유사시 연구원들을 도피시키기 위한 전용도로라고 했다가, 세종시로 이어지는 도로처럼 위장하기도 했다"면서"핵연료가 안전한 물질이라면 왜 핵연료봉을 실어나르는 전용도로라 하지 않고 주민들을 속였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한전원자력연료는 수억원씩 인근 동에 지원하는 걸로 주민들의 반대 입장을 무마하려 하고 있다"면서 "안전에 문제가 없다면 왜 국민의 세금을 들여 만든 공기업이 이런 곳에 돈을 쓰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주민 동의없는 밀실 합의에 반대한다"면서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방사능 폐기물 시설을 안전한 곳으로 조속히 이전하라"고 촉구했다.
한전원자력연료는 2016년 말까지 한전원자력연료 내 부지에 4만1천㎡ 규모로 연간 250t의 핵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제3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당초 계획은 올해 초 부지매입을 끝내고 착공에 들어갔어야 하지만, 주민들의반대와 행정기관의 인허가 지연으로 건설이 연기됐다.
이에 대해 이준노 한전원자력연료 신규사업단장은 "원전 연료는 2∼5%의 저농축우라늄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선량은 자연방사선량 이하수준으로 낮다"면서 "IAEA 핵사찰도 받고 있고, 그동안 한전원자력연료에서는 방사선 누출사고도 없었던 만큼 안전성은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명했다.
이어 "관평·송강·신성·전민동에 야외무대 건설 등 주민 숙원사업에 12억여원을 투입할 예정"이라면서 "돈으로 보상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역과 상생 차원에서실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핵연료 공장증설 반대 전민·관평·구즉·신성동 주민 모임'은 27일 유성구 관평동 네거리에서 핵연료봉 공장 증설 반대 서명운동과 선전전을 벌인다고 26일 밝혔다.
주민 모임은 "유성에는 이미 고리 원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핵폐기물이 저장돼 있고 그 때문에 크고 작은 사고가 빈발했다"면서 "도심 한복판에 핵연료 시설을 증설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실제 한전원자력연료가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에서는 방사능 관련 사고가잇따르고 있다.
가장 최근인 2011년 2월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 연구시설에서 방사선 준위가기준치를 초과하면서 백색비상이 발령됐다.
다행히 원자력연 경계지점에서의 방사선 준위는 정상치로 나타났으나 하나로 가동이 20여일 동안 중단되는 등 소동을 빚었다.
앞서 2007년 8월 6일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준비과정에서 양자광학연구센터에 보관 중이던 IAEA 특별사찰 대상물질인 농축 우라늄 0.2g 등이 든 시료상자를 분실한 것으로 드러나 국제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
2006년 11월에는 원자력연구원과 용역업체 직원이 하나로 원자로 부근에서 작업중 방사능이 높은 시설물을 물 밖으로 끄집어내는 바람에 5분가량 방사선에 피폭됐으며, 이보다 한 달 전에는 하나로 부속시설에서 불이 나 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이외부로 유출됐다.
또 2005년 5월에도 원자력연에서 누출된 것이 거의 확실한 극미량의 방사성 요오드가 충남대 등지에서 검출됐고 2004년 4∼5월에는 하나로에서 중수가 누출된 적도 있다.
주민 모임은 "한전원자력연료는 핵연료 전용 도로를 유사시 연구원들을 도피시키기 위한 전용도로라고 했다가, 세종시로 이어지는 도로처럼 위장하기도 했다"면서"핵연료가 안전한 물질이라면 왜 핵연료봉을 실어나르는 전용도로라 하지 않고 주민들을 속였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한전원자력연료는 수억원씩 인근 동에 지원하는 걸로 주민들의 반대 입장을 무마하려 하고 있다"면서 "안전에 문제가 없다면 왜 국민의 세금을 들여 만든 공기업이 이런 곳에 돈을 쓰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주민 동의없는 밀실 합의에 반대한다"면서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방사능 폐기물 시설을 안전한 곳으로 조속히 이전하라"고 촉구했다.
한전원자력연료는 2016년 말까지 한전원자력연료 내 부지에 4만1천㎡ 규모로 연간 250t의 핵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제3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당초 계획은 올해 초 부지매입을 끝내고 착공에 들어갔어야 하지만, 주민들의반대와 행정기관의 인허가 지연으로 건설이 연기됐다.
이에 대해 이준노 한전원자력연료 신규사업단장은 "원전 연료는 2∼5%의 저농축우라늄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선량은 자연방사선량 이하수준으로 낮다"면서 "IAEA 핵사찰도 받고 있고, 그동안 한전원자력연료에서는 방사선 누출사고도 없었던 만큼 안전성은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명했다.
이어 "관평·송강·신성·전민동에 야외무대 건설 등 주민 숙원사업에 12억여원을 투입할 예정"이라면서 "돈으로 보상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역과 상생 차원에서실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