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항공기의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관련 원천기술 및 특허권 확보를 위한 경쟁이 뜨겁다.
28일 특허청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11년까지 무인항공기 관련 국내 특허출원은모두 282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2002∼2006년(과거 5년간) 모두 55건의 특허가 출원됐고, 2007∼2011년(최근 5년간) 모두 205건의 특허가 출원됐다.
주요 출원인은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한항공 등 국내 3사에서 모두 57건을, 록히드 마틴, 보잉, 노스럽 그루먼 등 북미 3사에서 모두 27건을출원했다.
2002∼2006년과 2007∼2011년간 출원 동향을 기술분야별로 대비해 보면 무인항공기 체계 및 비행체 기술이 41건에서 91건, 비행제어컴퓨터 기술은 9건에서 42건으로 늘었다.
지상통제 및 통신장비 기술이 3건에서 28건, 이착륙 기술은 1건에서 33건, 임무탑재 기술은 1건에서 11건으로 각각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비행제어 기술, 지상통제 및 통신 기술, 이착륙 기술, 임무탑재 기술 등특허출원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항공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결합한 대표적 융합기술인 무인항공기 기술분야에서정보통신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준호 특허심사 3국장은 "무인항공기의 미래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원천및 핵심기술과 지재권 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지재권 전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말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민간 무인항공기 사용을 전면 허용하는법안에 서명했다.
이 결과 무인항공기의 이용이 민간영역까지 확대되면 10년 내에 1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돼 관련산업 규모도 2025년까지 8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미국의 국제무인시스템협회(AUVSI)는 밝혔다.
j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8일 특허청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11년까지 무인항공기 관련 국내 특허출원은모두 282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2002∼2006년(과거 5년간) 모두 55건의 특허가 출원됐고, 2007∼2011년(최근 5년간) 모두 205건의 특허가 출원됐다.
주요 출원인은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한항공 등 국내 3사에서 모두 57건을, 록히드 마틴, 보잉, 노스럽 그루먼 등 북미 3사에서 모두 27건을출원했다.
2002∼2006년과 2007∼2011년간 출원 동향을 기술분야별로 대비해 보면 무인항공기 체계 및 비행체 기술이 41건에서 91건, 비행제어컴퓨터 기술은 9건에서 42건으로 늘었다.
지상통제 및 통신장비 기술이 3건에서 28건, 이착륙 기술은 1건에서 33건, 임무탑재 기술은 1건에서 11건으로 각각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비행제어 기술, 지상통제 및 통신 기술, 이착륙 기술, 임무탑재 기술 등특허출원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항공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결합한 대표적 융합기술인 무인항공기 기술분야에서정보통신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준호 특허심사 3국장은 "무인항공기의 미래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원천및 핵심기술과 지재권 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지재권 전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말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민간 무인항공기 사용을 전면 허용하는법안에 서명했다.
이 결과 무인항공기의 이용이 민간영역까지 확대되면 10년 내에 1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돼 관련산업 규모도 2025년까지 8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미국의 국제무인시스템협회(AUVSI)는 밝혔다.
j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