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이상엽 교수 연구팀이대장균을 이용해 페놀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간 800만t 이상 생산되는 페놀은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제초제 등 다양한사업에 활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하지만 미생물에 대한 독성 때문에 미생물을 이용해 페놀을 생산하는 연구는 생산량이 미생물 1리터당 1g 미만 수준에 그쳤다.
연구팀은 18종의 다양한 대장균 균주에 대해 대사공학을 적용해 'BL21'이라는대장균 균주가 페놀 생산에 가장 적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에 개발된 대장균 균주는 기존 균주보다 생산량이 훨씬 높아져 24시간 내최대 페놀 생산량이 3.8g에 달했다.
연구팀은 페놀의 대장균에 대한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발효공정(biophasic fermentation, 수용액인 배지에 유기용제를 넣어 발효하는 공정)'을 이용해 페놀의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유전자 발현을 차단해 이른 시일 안에 대사 흐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합성 조절 RNA 기술'을 이용, 18종의 대장균에 대한 대사공학을 동시에 진행하는것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학술지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지난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연간 800만t 이상 생산되는 페놀은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제초제 등 다양한사업에 활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하지만 미생물에 대한 독성 때문에 미생물을 이용해 페놀을 생산하는 연구는 생산량이 미생물 1리터당 1g 미만 수준에 그쳤다.
연구팀은 18종의 다양한 대장균 균주에 대해 대사공학을 적용해 'BL21'이라는대장균 균주가 페놀 생산에 가장 적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에 개발된 대장균 균주는 기존 균주보다 생산량이 훨씬 높아져 24시간 내최대 페놀 생산량이 3.8g에 달했다.
연구팀은 페놀의 대장균에 대한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발효공정(biophasic fermentation, 수용액인 배지에 유기용제를 넣어 발효하는 공정)'을 이용해 페놀의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유전자 발현을 차단해 이른 시일 안에 대사 흐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합성 조절 RNA 기술'을 이용, 18종의 대장균에 대한 대사공학을 동시에 진행하는것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학술지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지난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