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국제 엠바고 10월 23일 오전 2시는 과학학술지 <네이처>가 정한 것으로,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기사를 송고합니다. 신문과 방송
지난 50년간 공룡 학계의 미스터리로 남아있던'데이노케이루스'의 전체 모습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융남 지질박물관장 연구팀은 23일 공룡 '데이노케이루스미리피쿠스'의 전체 모습을 발굴해 재현해 낸 복원도를 처음 공개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1965년 폴란드팀이 몽골 고비사막에서 앞발 화석을 찾으면서존재가 알려졌지만, 추가로 표본이 발굴되지 않아 '미스터리 공룡'으로 남아있었다.
2m에 이르는 앞발과 날카로운 발톱 때문에 '무서운 발톱'이라는 뜻에서 데이노케이루스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연구팀의 복원 결과, 데이노케이루스의 실체는 형태부터 식생까지 거의 모든 것이 기존의 예상을 벗어났다.
우선 몸 크기는 티라노사우루스보다 더 큰 지상 최대의 육식공룡일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전체 길이 11m, 몸무게 6.4t으로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했다.
데이노케이루스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긴 앞발과 오리처럼 넓적한 부리, 단봉낙타처럼 등에 솟은 거대한 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빨이 없고 거대한 팔을 갖고 있는 등 생김새로 보아 갈리미무스, 오르니토미무스와 같은 타조공룡에 속한다. 공룡은 생김새별로 목이 길고 꼬리가 긴 브라키오사우루스 등은 '목긴 공룡', 온몸이 딱딱한 뼈로 된 갑옷으로 덮인 안킬로사우루스등은 '갑옷 공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날렵하고 빠른 전형적인 타조공룡과는 달리 몸집이 거대하고 뒷다리와대퇴골 등이 발달해 있어 천천히 걷는 공룡이었음을 말해준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티라노사우루스처럼 '육식공룡'이 아닌 '잡식공룡'인 것으로 확인됐다.
데이노케이루스의 가장 큰 특징인 긴 앞발과 낫처럼 생긴 앞발톱은 물가에 낮게자라는 식물을 끌어모으기 위한 구조로 해석된다.
또 1천400개가 넘는 위 화석에서 발견된 물고기와 식물, 머리뼈의 모습 등이 초식을 같이한 잡식성임을 증명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융남 관장은 "2006년과 2009년 몽골 남부고비사막에서 데이노케이루스 몸통뼈표본을 발굴한 데 이어 지난 5월 머리뼈와 발뼈까지 추가로 확인함으로써 데이노케이루스의 완전한 복원도를 구현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융남 관장(제1저자)을 비롯해 몽골 고생물학센터 린첸 바스볼드 전 센터장,캐나다 알버타대학 필립 커리 교수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 이날 자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지난 50년간 공룡 학계의 미스터리로 남아있던'데이노케이루스'의 전체 모습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융남 지질박물관장 연구팀은 23일 공룡 '데이노케이루스미리피쿠스'의 전체 모습을 발굴해 재현해 낸 복원도를 처음 공개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1965년 폴란드팀이 몽골 고비사막에서 앞발 화석을 찾으면서존재가 알려졌지만, 추가로 표본이 발굴되지 않아 '미스터리 공룡'으로 남아있었다.
2m에 이르는 앞발과 날카로운 발톱 때문에 '무서운 발톱'이라는 뜻에서 데이노케이루스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연구팀의 복원 결과, 데이노케이루스의 실체는 형태부터 식생까지 거의 모든 것이 기존의 예상을 벗어났다.
우선 몸 크기는 티라노사우루스보다 더 큰 지상 최대의 육식공룡일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전체 길이 11m, 몸무게 6.4t으로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했다.
데이노케이루스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긴 앞발과 오리처럼 넓적한 부리, 단봉낙타처럼 등에 솟은 거대한 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빨이 없고 거대한 팔을 갖고 있는 등 생김새로 보아 갈리미무스, 오르니토미무스와 같은 타조공룡에 속한다. 공룡은 생김새별로 목이 길고 꼬리가 긴 브라키오사우루스 등은 '목긴 공룡', 온몸이 딱딱한 뼈로 된 갑옷으로 덮인 안킬로사우루스등은 '갑옷 공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날렵하고 빠른 전형적인 타조공룡과는 달리 몸집이 거대하고 뒷다리와대퇴골 등이 발달해 있어 천천히 걷는 공룡이었음을 말해준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티라노사우루스처럼 '육식공룡'이 아닌 '잡식공룡'인 것으로 확인됐다.
데이노케이루스의 가장 큰 특징인 긴 앞발과 낫처럼 생긴 앞발톱은 물가에 낮게자라는 식물을 끌어모으기 위한 구조로 해석된다.
또 1천400개가 넘는 위 화석에서 발견된 물고기와 식물, 머리뼈의 모습 등이 초식을 같이한 잡식성임을 증명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융남 관장은 "2006년과 2009년 몽골 남부고비사막에서 데이노케이루스 몸통뼈표본을 발굴한 데 이어 지난 5월 머리뼈와 발뼈까지 추가로 확인함으로써 데이노케이루스의 완전한 복원도를 구현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융남 관장(제1저자)을 비롯해 몽골 고생물학센터 린첸 바스볼드 전 센터장,캐나다 알버타대학 필립 커리 교수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 이날 자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