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연구용으로 불가피"…대덕테크노밸리 아파트 주민 '불안'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30년 가까이 방사능누출 위험이 큰 손상 핵연료가 보관돼온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사회가 들끓고 있다.
특히 인근에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학교 등이 있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연구원 내에 사용후핵연료인 폐연료봉 1천699개(3.3t)를 보관 중이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에서 타고 난 뒤의 핵폐기물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로분류된다.
이 가운데 309개는 손상 핵연료로, 1988부터 2010년까지 7차례에 걸쳐 부산 고리원전·전남 영광 한빛원전·경북 울진 한울원전 등지에서 옮겨온 것으로 파악됐다.
손상 핵연료는 이송 과정에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돼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피복이 손상된 핵연료를 운반할 수 없도록 자체 규정을 두고 있다.
원자력연은 손상 원인 규명과 연구개발 등을 이유로 손상 핵연료를 원전으로부터 옮겨온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원 내 '조사후 연료 시험시설'에서 핵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손상이일어나는 원인을 밝히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1987년부터 시설 운전을 시작, 핵연료의 손상 원인을 분석해 핵연료 제조·운전시설에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 유일의 사용후핵연료 실험시설이지만, 인근 유성구 관평동 대덕테크노밸리내에 아파트 대단지와 초등학교 등이 밀집해 있어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시설이 들어설 당시만 해도 주위가 '허허벌판'이었지만, 현재는 아파트촌이 된만큼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에 대비해 안전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게다가 연구원 내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처리 계획도 잡혀있지 않은 상황이다.
연구원 내 중·저준위 폐기물 1만9천600여 드럼은 2035년까지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로 이송할 계획이지만, 사용후핵연료는 고준위 폐기물이어서 중저준위방폐장으로 보낼 수 없다.
정부는 2035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중간저장시설을 설치·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주민 반발 등 때문에 계획대로 설치가 쉽지 않아 보인다.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이날 오전 대전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30년간 단 한 번도 이 사실을 주민에게 알리지 않고 쉬쉬한 건 명백한 기만행위"라며"원자력 안전관리에 대한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드러난 것"이라고 성토했다.
허 구청장은 "연구 목적을 빌미로 반입된 후 반출 조처도 되지 않으면서 대전이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소로 변질하고 있다"며 원자력연구원 내 사용후핵연료·손상 핵연료에 대한 반출 및 시설물 내진보강 계획이 담긴 종합대책을 제시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유성구의회 의원들도 이날 성명을 내고 '사용후핵연료 즉시 반출', '파이로프로세싱(건식 재처리) 연구계획 중단',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이전 대책 마련', '원자력 안전 사항 전체 공개' 등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원자력연원 안상복 박사는 "사용후핵연료 연구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원자력연구원의 고유 미션인 만큼, 연구 목적으로 수행이 불가피하다"면서 "손상핵연료를 이송할 때에도 차량 전복과 화재 등 최악의 상황을 설계해 안전 조치를 했고, 규제기관으로부터 운반 전 검사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조사후 연료 시험시설이 들어선 뒤 30년 동안 방사능 누출 사고가 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면서 "규제기관으로부터 원자력안전법상 법규에 따라 정기적으로안전 검사를 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30년 가까이 방사능누출 위험이 큰 손상 핵연료가 보관돼온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사회가 들끓고 있다.
특히 인근에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학교 등이 있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연구원 내에 사용후핵연료인 폐연료봉 1천699개(3.3t)를 보관 중이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에서 타고 난 뒤의 핵폐기물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로분류된다.
이 가운데 309개는 손상 핵연료로, 1988부터 2010년까지 7차례에 걸쳐 부산 고리원전·전남 영광 한빛원전·경북 울진 한울원전 등지에서 옮겨온 것으로 파악됐다.
손상 핵연료는 이송 과정에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돼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피복이 손상된 핵연료를 운반할 수 없도록 자체 규정을 두고 있다.
원자력연은 손상 원인 규명과 연구개발 등을 이유로 손상 핵연료를 원전으로부터 옮겨온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원 내 '조사후 연료 시험시설'에서 핵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손상이일어나는 원인을 밝히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1987년부터 시설 운전을 시작, 핵연료의 손상 원인을 분석해 핵연료 제조·운전시설에 통보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 유일의 사용후핵연료 실험시설이지만, 인근 유성구 관평동 대덕테크노밸리내에 아파트 대단지와 초등학교 등이 밀집해 있어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시설이 들어설 당시만 해도 주위가 '허허벌판'이었지만, 현재는 아파트촌이 된만큼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에 대비해 안전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게다가 연구원 내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처리 계획도 잡혀있지 않은 상황이다.
연구원 내 중·저준위 폐기물 1만9천600여 드럼은 2035년까지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로 이송할 계획이지만, 사용후핵연료는 고준위 폐기물이어서 중저준위방폐장으로 보낼 수 없다.
정부는 2035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중간저장시설을 설치·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주민 반발 등 때문에 계획대로 설치가 쉽지 않아 보인다.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이날 오전 대전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30년간 단 한 번도 이 사실을 주민에게 알리지 않고 쉬쉬한 건 명백한 기만행위"라며"원자력 안전관리에 대한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드러난 것"이라고 성토했다.
허 구청장은 "연구 목적을 빌미로 반입된 후 반출 조처도 되지 않으면서 대전이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소로 변질하고 있다"며 원자력연구원 내 사용후핵연료·손상 핵연료에 대한 반출 및 시설물 내진보강 계획이 담긴 종합대책을 제시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유성구의회 의원들도 이날 성명을 내고 '사용후핵연료 즉시 반출', '파이로프로세싱(건식 재처리) 연구계획 중단',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이전 대책 마련', '원자력 안전 사항 전체 공개' 등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원자력연원 안상복 박사는 "사용후핵연료 연구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원자력연구원의 고유 미션인 만큼, 연구 목적으로 수행이 불가피하다"면서 "손상핵연료를 이송할 때에도 차량 전복과 화재 등 최악의 상황을 설계해 안전 조치를 했고, 규제기관으로부터 운반 전 검사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조사후 연료 시험시설이 들어선 뒤 30년 동안 방사능 누출 사고가 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면서 "규제기관으로부터 원자력안전법상 법규에 따라 정기적으로안전 검사를 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