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국은행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감에 따라 대표적인 물가지표인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의 산정체계를 해마다 새롭게 바꿔 산정하기로 방침을 확정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금까지는 2005년을 기준점으로 5년마다 품목 산정 및 품목별 가중치를 변경해왔다.
이처럼 5년이 지나서야 품목과 가중치를 조정하는 탓에 양대 물가지수가 실제 국민이 느끼는 체감 물가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데다, 정부 당국이 정확한 대처를 하는 기초자료로서도 부족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11일 한은과 통계청에 따르면 한은은 2005년을 기준(100)으로 5년마다 해오던 생산자물가지수의 품목별 지수 편입·퇴출 여부 및 품목별 가중치 조정을 앞으로는 매년마다 하기로 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과 서비스, 농림수산품을 중심으로 개별품목의 거래액이 상품의 경우 모집단거래액의 `1만분의 1''(664억원) 이상, 서비스는 `2천분의 1''(1천195억원) 이상의 거래비중을 갖고 있으면서, 동종품목의 가격변동을 대표할 수 있는 품목을 대상으로 산정한다. 현재 조사대상 품목은 상품은 801개, 서비스는 83개로 모두 884개다.
한은 관계자는 "지금도 지수에 포함되는 품목의 가격수준을 매달 조사하고 있지만, 품목별 진출입, 품목별 가중치는 5년마다 한번만 하고 있어 체감물가와 동떨어진 측면이 있다"면서 "조사는 매달하면서 실제 반영은 5년마다 하는 불합리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5년마다 품목과 가중치를 바꾸는 현행 방식은 물가수준이 급변하더라도 5년 동안은 품목이나 가중치에 변동이 없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적기조사를 통한 적확한 대처를 위해 지수 산정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공산물, 서비스,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월 소비지출액의 `1만분의 1'' 이상인 489개 품목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통계청이 작성하는 소비자물가지수도 2005년을 기준으로 5년마다 바꾸는 방식을 버리고 평균 2.5년마다 지수체계를 변경하기로 했다.
소비자물가지수도 생산자물가지수처럼 2005년을 기준으로 5년마다 지수에 산입되는 품목을 새로 정하고 품목별 가중치를 변경해왔지만, 앞으로는 이에 더해 끝자리가 `3과 8''인 년도마다 품목별 가중치를 새로 산정해 반영하기로 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들어 물가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 내에서 2010년 하반기부터 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산정되는 소비자물가지수는 2013년부터 발표된다"고 전했다.
한은의 새로운 생산자물가지수도 2013년부터 공표된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에는 생산자물가지수가 일정한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됐다"면서 "하지만 최근에는 두 지수가 `거의 동행''하고 있어 두 지수의 산정방식이 동시에 개선되면 체감 물가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데다 이에 따른 정부와 한은의 대처방식도 보다 정교해진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금까지는 2005년을 기준점으로 5년마다 품목 산정 및 품목별 가중치를 변경해왔다.
이처럼 5년이 지나서야 품목과 가중치를 조정하는 탓에 양대 물가지수가 실제 국민이 느끼는 체감 물가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데다, 정부 당국이 정확한 대처를 하는 기초자료로서도 부족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11일 한은과 통계청에 따르면 한은은 2005년을 기준(100)으로 5년마다 해오던 생산자물가지수의 품목별 지수 편입·퇴출 여부 및 품목별 가중치 조정을 앞으로는 매년마다 하기로 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과 서비스, 농림수산품을 중심으로 개별품목의 거래액이 상품의 경우 모집단거래액의 `1만분의 1''(664억원) 이상, 서비스는 `2천분의 1''(1천195억원) 이상의 거래비중을 갖고 있으면서, 동종품목의 가격변동을 대표할 수 있는 품목을 대상으로 산정한다. 현재 조사대상 품목은 상품은 801개, 서비스는 83개로 모두 884개다.
한은 관계자는 "지금도 지수에 포함되는 품목의 가격수준을 매달 조사하고 있지만, 품목별 진출입, 품목별 가중치는 5년마다 한번만 하고 있어 체감물가와 동떨어진 측면이 있다"면서 "조사는 매달하면서 실제 반영은 5년마다 하는 불합리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5년마다 품목과 가중치를 바꾸는 현행 방식은 물가수준이 급변하더라도 5년 동안은 품목이나 가중치에 변동이 없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적기조사를 통한 적확한 대처를 위해 지수 산정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공산물, 서비스,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월 소비지출액의 `1만분의 1'' 이상인 489개 품목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통계청이 작성하는 소비자물가지수도 2005년을 기준으로 5년마다 바꾸는 방식을 버리고 평균 2.5년마다 지수체계를 변경하기로 했다.
소비자물가지수도 생산자물가지수처럼 2005년을 기준으로 5년마다 지수에 산입되는 품목을 새로 정하고 품목별 가중치를 변경해왔지만, 앞으로는 이에 더해 끝자리가 `3과 8''인 년도마다 품목별 가중치를 새로 산정해 반영하기로 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들어 물가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 내에서 2010년 하반기부터 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산정되는 소비자물가지수는 2013년부터 발표된다"고 전했다.
한은의 새로운 생산자물가지수도 2013년부터 공표된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에는 생산자물가지수가 일정한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됐다"면서 "하지만 최근에는 두 지수가 `거의 동행''하고 있어 두 지수의 산정방식이 동시에 개선되면 체감 물가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데다 이에 따른 정부와 한은의 대처방식도 보다 정교해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