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입규모가 커진 인도시장을 놓고 한국과 중국, 일본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져 국내 기업의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인도 수입시장에서 한ㆍ중ㆍ일 경제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對)인도 수출이 지난 10년 동안 약 9.5배 늘어 인도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8%에서 3.0%로 높아졌다.
중국의 10년간 수출 규모는 20.5배 커져 10.7%의 점유율로 현재 인도의 1위 수입대상국으로 성장했다.
일본은 수출 규모가 3.7배 늘어났지만 점유율은 3.6%에서 2.3%로 떨어졌다.
이는 일본의 동남아 제조생산기지에서 인도로 직접 수출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은 수치라고 연구원은 전했다.
중국과 일본은 인도의 주요 수입 국가 가운데 한국과 가장 유사한 수출구조를 가지고 있어 앞으로 인도시장에서 3개 국가의 경쟁은 심화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전기기기 및 부품, 기계류에서는 중국의 공격적 시장확장이 예상되며, 철강의 경우 일본의 대(對)인도 합작투자 활성화와 중국의 제품 고부가가치화 및 거대 철강그룹의 탄생으로 경쟁이 심해질 전망이다.
또 한국과 일본 두나라 1위 수출 품목인 자동차 부품은 수직계열화의 특성상 직접적인 경쟁은 거의 없지만 앞으로 확대될 현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소싱 다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한ㆍ중ㆍ일 경쟁이 매우 치열하지만 앞으로 인도의 시장규모가 커지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은 끊임없는 경쟁력 강화를 통해 수출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2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인도 수입시장에서 한ㆍ중ㆍ일 경제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對)인도 수출이 지난 10년 동안 약 9.5배 늘어 인도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8%에서 3.0%로 높아졌다.
중국의 10년간 수출 규모는 20.5배 커져 10.7%의 점유율로 현재 인도의 1위 수입대상국으로 성장했다.
일본은 수출 규모가 3.7배 늘어났지만 점유율은 3.6%에서 2.3%로 떨어졌다.
이는 일본의 동남아 제조생산기지에서 인도로 직접 수출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은 수치라고 연구원은 전했다.
중국과 일본은 인도의 주요 수입 국가 가운데 한국과 가장 유사한 수출구조를 가지고 있어 앞으로 인도시장에서 3개 국가의 경쟁은 심화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전기기기 및 부품, 기계류에서는 중국의 공격적 시장확장이 예상되며, 철강의 경우 일본의 대(對)인도 합작투자 활성화와 중국의 제품 고부가가치화 및 거대 철강그룹의 탄생으로 경쟁이 심해질 전망이다.
또 한국과 일본 두나라 1위 수출 품목인 자동차 부품은 수직계열화의 특성상 직접적인 경쟁은 거의 없지만 앞으로 확대될 현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소싱 다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한ㆍ중ㆍ일 경쟁이 매우 치열하지만 앞으로 인도의 시장규모가 커지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은 끊임없는 경쟁력 강화를 통해 수출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